잉카 제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잉카 문명 (케추아어: Tawanti Suyu, 타완티 수유, 네개지역연합)은 1438년 부터 1533년에 걸쳐 번성한 제국이며 현재 페루 영토에 주로 자리잡고 있었다. 이 기간동안 잉카인들은 점령과 평화적인 합방을 통해 안데스 산맥을 주축으로 하는 남아메리카 서부의 주요 영토를 제국의 일부로 편입했다. 1533년 사파 잉카라 불리우는 마지막 황제 아타왈파는 점령자 프란시스코 피사로의 명령에 의해 살해당하고 잉카 제국의 멸망과 동시에 에스파냐 지배가 시작되었다.
잉카는 네개의 "수유" (suyu)로 나뉘어 각 수유의 모서리는 (잉카 신화에 의하면) "세계의 배꼽" (Qusqu)에 서로 맞닿아 이곳에 수도 쿠스코가 설립되었다.
제국의 공식 언어는 케추아어였으나 몇백개가 넘는 지역 언어가 통용되었다. 잉카 지도부는 그들의 신을 숭배하도록 권장했는데 그 중 최고신은 태양신 인티였다.
목차 |
[편집] 잉카의 역사
[편집] 초기의 역사
기원전 11000년 오늘날 페루라는 불리는 지역에 정착해 기원전 1250년 안데스 산맥지역에 부족사회가 형성된다. 빈족,치무족,나스카족,티아우아나코족등이 있다. 서기 600년 우아리 지역에서 온 민족이 200여년 동안 서부안데스를 지배한다. 이때부터 미라를 매장하는 풍습이 생긴다. 900년 우아리 민족이 사라지고 다시 여러부족으로 갈라진뒤 1105년 잉카 군주인 신치 로카가 자신의 부족을 다스리게 된다. 1370년 치무족이 페루를 다스린다. 1438년 부족들끼리 분쟁을 일어난다. 약 50년간 걸쳐 잉카족은 다른 부족들을 정복하고 지배한다.
[편집] 잉카의 역사
1100년 잉카인들이 세력을 넓히려고 다른 민족을 정복한다. 1438년 창카족이 잉카인을 공격하나 실패로 끝났다. 하지만 잉카제국이 내분이 일게 된다. 1492년 크리스토퍼 콜롬버스가 우연히 아메리카대륙에 오게 되어 에스파냐 정복자들이 정복하게 된다.
[편집] 관련 문서
- 페루의 역사
- 페루의 에스파냐 점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