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익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당 |
---|
|
좌익(左翼)은 정치 성향 분포에서 우익의 반대편에 위치한 쪽으로, 사회의 변동을 추구하는 정치성향을 가진 사람들을 일컫는다. 한편으로는 자유보다는 평등을 중시하는 정치 입장을 말하기도 한다.[1] 비슷한 말로는 진보라고 할 수도 있다. 21세기 세계사에서 볼 때에 일반적으로 사회주의,공산주의와 무정부주의를 좌익으로 본다.
목차 |
[편집] 유래
프랑스 대혁명 당시, 상대적으로 사회변동에 온건한 쪽이 의회의 오른쪽 부분에, 급진적인 쪽이 의회의 왼쪽 부분에 위치한 데서 유래한 말이다. '좌익'이란 단어는 역사적으로 볼 때, 고정된 의미를 가진 단어가 아니다. 다시 말해, '좌익'은 뜻이 항상 변화하는 단어라는 것이다. 사회의 변동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좌익으로 불리며, 혹은 그렇게 몰린다. 중세 유럽 봉건시대때에는 자신들의 이익을 지키려는 상인들이 좌익이었으며, 봉건영주에게 맞서 농노들의 권익을 지키려고 한 사람들이 좌익이었다. 프랑스 대혁명 당시에는 절대군주의 권력에 맞서 프랑스 전체 시민의 권리를 지키려고 한 사람이 좌익이었으며, 이 속에는 지금은 우익으로 분류되는 부르주아지도 포함된다. 21세기 세계에서는 절차적 민주주의가 어느 정도 성취된 상태에서, 노동운동이 좌익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규정과 정의에 따라 평등보다 자유를 중시하는 자본주의 입장을 우익, 자유보다 평등을 중시하면 좌익으로 보기도 한다.
[편집] 한국에서의 좌익
반공의 국시로, 좌익을 북한에 동조하거나, 북한의 주장과 비슷한 모든 것들을 좌익으로 보며, 이를 국가보안법으로 처벌하여, 진정한 의미의 좌익보다는 "급진좌경세력"이란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되었다. 이로 인해 "좌익" = "공산주의"로 통용되어, "좌익"이란 용어를 스스로 사용하는 단체는 없고, 어감상 좀 더 부드러운 "좌파"라는 용어가 "좌익"을 대신하여 사용되고 있다.
[편집] 한국의 대표적 좌파 단체
- 정당 : 민주노동당, 한국사회당등이 좌익 정당으로 꼽힌다. 역사적으로는 죽산 조봉암이 당수로 있던 진보당을 비롯, 박헌영이 총서기로 있던 조선 공산당이 있다.
- 보수 우익 단체로부터 한겨레신문, 전대협, 한총련등이 좌파라 불리고 있지만, 사전적 의미로서, 일반적으로 이들을 민족주의 성향의 중도 우파로 분류하기도 한다.
[편집] 각주
- ↑ 《제3의 길은 가능한가: 좌파냐 우파냐》,노르베르토 보비오, 새물결. ISBN 89-88336-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