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교 좌표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학에서 직교 좌표계(直交 座標系,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는 평면 또는 공간 안의 임의의 점을 나타내는 수의 짝이다. 보통 2차원 또는 3차원 좌표계를 많이 사용하나, 4차원 이상의 좌표계가 쓰이는 경우도 있다. 처음 직교 좌표계의 개념을 확립한 프랑스의 수학자 데카르트의 이름에서 따서 데카르트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 system)라고 부르기도 한다.
[편집] 2차원 좌표계
오늘날 사용하는 2차원 데카르트 좌표계는 xy평면을 이루는 서로 직교하는 x축 (수평방향)과 y축(수직방향)으로 정의한다. x축과 y축이 만나는 점을 원점(原點, origin)이라고 부른다.
[편집] 3차원 좌표계
![]() |
이 문서는 수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