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BS |
한국어 표기 |
에스비에스 |
영어 표기 |
Seoul Broadcasting System |
각국어 표기 |
{{{각국어 표기}}} |
|
방송국 정보 |
국적 |
{{{국적}}} |
방송 목적 |
{{{방송 목적}}} |
개국일 |
{{{개국일}}} |
공식사이트 |
서울방송 홈페이지 |
주식회사 SBS(에스비에스)는 한국의 방송사 중 하나이다.
[편집] 캐치프레이즈
- 건강한 방송 건강한 사회 (1991년 ~ 현재)
[편집] 연혁
- 1990년 8월 방송법 개정으로 10년만에 민영방송 전면허용.
- 1990년 10월 31일 (주)태영을 지배주주로 한 31개사를 민영방송 주체자로 선정발표, (주)서울방송 설립.
- 1991년 11월 14일 서울방송 창사. (대표이사 : 윤세영)
- 1991년 3월 30일 ‘KBS 라디오서울’로부터 주파수를 인계받아 SBS-AM(현 러브FM) 개국(호출부호 HLSQ, AM 792kHz, 50KW).
- 1991년 7월 5일 일본의 니혼TV(NTV)와 방송협정 체결.
- 1991년 12월 7일 미국의 NBC와 러시아의 RTR과 방송협정 체결.
- 1991년 12월 9일 SBS TV 방송 개국(호출부호 HLSQ-TV, CH06).
- 1992년 3월 11일 남자농구단 창단.
- 1992년 3월 20일 SBS USA 설립(미주지사).
- 1992년 5월 11일 SBS프로덕션 설립.
- 1992년 12월 9일 일산스튜디오 준공.
- 1993년 2월 17일 중국 BTV와 방송협정 체결.
- 1993년 4월 26일 8개 TVR(간이무인중계소) 준공.
- 1993년 7월 1일 SBS 고양송신소(라디오) 준공, SBS-AM이 대한민국 최초로 AM 스테레오방송 개시.
- 1993년 10월 25일 SBS 문화재단 설립.
- 1993년 11월 14일 관악산 및 용문산 TV중계소 준공.
- 1993년 12월 9일 등촌동 공개홀 준공.
- 1994년 3월 12일 윤세영 회장, 윤혁기 사장 취임.
- 1995년 4월 4일 4개지역민방(부산,대구,대전,광주)과 기본협정 체결.
- 1995년 5월 14일 서울방송계열의 부산방송(PSB, 현 KNN), 대구방송(TBC), 대전방송(TJB), 광주방송(KBC)이 지역민영방송을 개국.
- 1995년 11월 14일 일산제작센터 준공.
- 1996년 2월 5일 SBS 방송아카데미 개원
- 1996년 11월 14일 SBS 파워FM 개국(호출부호 HLSQ-FM, FM 107.7MHz)
- 1997년 1월 28일 안양 SBS 스타즈 프로농구단 출범.
- 1997년 8월 30일 전주, 청주방송과 기본협정 체결.
- 1997년 9월 27일 전주방송(JTV) 개국.
- 1997년 10월 18일 청주방송(CJB) 개국.
- 1998년 12월 1일 SBS 아트텍, SBS 뉴스텍 설립.
- 1999년 1월 1일 SBS AM방송의 표준FM으로 러브FM 개국(호출부호 HLSQ-SFM, FM 103.5MHz).
- 1999년 3월 10일 송도균 사장 취임.
- 1999년 5월 12일 코스닥에 (주)서울방송으로 상장.
- 1999년 7월 12일 한국골프채널 인수하여 SBS 골프채널 설립.
- 1999년 8월 21일 SBS 인터넷 설립.
- 1999년 9월 13일 DTV(디지털TV) 실험방송 개국.
- 1999년 12월 5일 방송사상 최초로 북한에서 이산가족 상봉 공식 취재.
- 2000년 1월 7일 한국스포츠TV 인수
- 2000년 2월 16일 SBS 스포츠채널 설립.
- 2000년 3월 1일 SBS 미디어넷 출범.
- 2000년 3월 17일 명칭을 (주)서울방송에서 (주) SBS로 변경.
- 2000년 3월 25일 SBS 인터넷을 SBSi로 변경.
- 2000년 8월 31일 대한민국 최초로 DTV 시험방송 개시.
- 2000년 10월 9일 대한민국 최초로 평양 생방송 뉴스 실시.
- 2000년 11월 14일 서울힐튼호텔에 열린 SBS 창사 10주년 기념식 및 SBS NEW CI 선포식.
- 2001년 1월 1일 SBS 신년 2001년도 시무식.
- 2001년 4월 6일 대한민국 최초로 HDTV(고화질 디지털TV) 생중계.
- 2001년 7월 14일 미주지역 위성방송 개국.
- 2001년 10월 26일 대한민국 최초로 HDTV 본방송 개시(호출부호 HLSQ-DTV, 가상채널 6-1), 관악산 DTV송신소 개국.
- 2001년 12월 7일 강원민방과 기본협정 체결.
- 2001년 12월 15일 강원민방(GTB) 개국.
- 2002년 1월 2일 ‘SBS 가치헌장’ 선포
- 2002년 2월 1일 SBS 축구채널이 SBS 드라마플러스로 변경
- 2002년 3월 18일 디지털 오디오 어카이브 뮤직뱅크 서비스 개시.
- 2002년 5월 20일 제주방송과 기본협정 체결.
- 2002년 5월 28일 용문산 DTV 중계소 준공.
- 2002년 5월 31일 제주국제자유도시방송(JIBS) 개국.
- 2002년 6월 13일 SBS 8 뉴스 6.13 지방선거 실시
- 2002년 8월 5일 드라마 등급제 시범 시행.
- 2002년 12월 1일 남산 DTV 중계소 준공.
- 2003년 5월 8일 세계 최대 야외 오페라 《투란토트》 공연.
- 2003년 6월 1일 SBS USA, SBS International로 사명 변경.
- 2003년 7월 15일 2003 Peace Cup KOREA 개최.
- 2003년 10월 7일 평양 특별 생방송 <류경 정주영 체육관 개관기념 통일]]농구> 국내방송사 최초로 대규모 제작진 및 중계차 육로로 평양 방문.
- 2003년 11월 14일 SBS 창사 13주년 기념 클린턴 전 미대통령 초청 강연.
- 2004년 3월 1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0-2 에서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1동(일명 목동사옥)으로 사옥 이전.
- 2004년 5월 7일 제1차 서울 디지털포럼 개최.
- 2005년 2월 2일 안국정 사장 취임.
- 2005년 3월 28일 지상파 DMB 사업자 선정.
- 2005년 5월 19일 서울 디지털 포럼 2005 World ICT Summit 개최.
- 2005년 8월 16일 UTV 개국.
- 2005년 8월 17일 안양 SBS 스타즈 프로농구단 매각.
- 2005년 8월 23일 광복 60주년 SBS 특별기획 (조용필 평양 2005)공연.
- 2005년 12월 1일 지상파 DMB SBSu 개국.
- 2006년 5월 23일 국내 최초 5.1채널 월드컵 축구방송.
- 2006년 5월 24일 서울 디지털 포럼 2006 - World ICT Summit 개최
- 2006년 9월 5일 SBS 사우회 창립
[편집] 특징
- 본사는 서울 특별시 양천구 목동에 소재하고 있고, 한국방송공사(KBS)나 문화방송(MBC)과 같이 독자적인 지방총국을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민영방송국 9사와 제휴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 방송국 개국 이래 일본의 니혼테레비(NTV)와 제휴 관계에 있어, 니혼테레비 계열의 후쿠오카 방송(FBS)등에서 특파원을 받아 들이고 있다.또 미 NBC나 러시아 RTR, 중국 북경 TV등과도 우호 관계에 있다.덧붙여 SBS 도쿄 지국은 시오도메의 일본 테레비 타워내에 있어, 도쿄발의 뉴스에서는 신바시역 부근을 달리는 토카이도 신칸센등을 배경으로 특파원이 리포트를 전하고 있다.
- 또 주식을 한국 증권거래소(현 - 증권선물거래소)에 상장하였다(증권 코드:034120).
- 대주주는 건설회사인 태영. 태영은 SBS의 설립 발기인적 입장에 있어, 윤세영이 양 회사의 회장을 맡는 등, 자본·인사상의 관계가 깊다.
- 케이블 TV나 위성방송(Skylife)을 통해서, SBS 드라마 플러스, SBS 스포츠, SBS 골프의 각 채널을 방송하고 있다. 그 중에서 SBS 스포츠에서는 2006년 시즌부터 프로야구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홈 시합의 생중계를 일본 테레비 G+로부터의 영상 제공을 받는 형태로 개시하고 있다. 이승엽의 자이언츠 입단에 의한 것으로, 경기종료까지, 음성은 SBS측에서 붙이는 「가공 출장」형식을 취하고 있다.
- 2004년 11월부터는 일본의 모바 HO!에, 드라마, 버라이어티, 라디오 프로그램의 공급을 개시(텔레비전 뉴스도 공급).
- 민영방송국의 전국 네트워크의 키국이라고 보이지만, 법률상으로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역민영방송」이다. 그 외의 지역 민방국과의 직접적인 자본 관계는 없다. 다만 SBS 대주주 태영은 KNN 주식의 10.9%, 강원 민방 (GTB) 주식의 4.9%를 보유, SBS 제2주주인 가스 기기 제조사 귀뚜라미는 대구 방송 (TBC) 주식의 24.2%(계열의 귀뚜라미 정밀 공업, 귀뚜라미보일러 몫합계)를 보유하는 대주주이다.
[편집] 회사개요
-
- 본사 (SBS방송센터) :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1동 920 (전화 02-2061-0006)
- SBS 공개홀 : 서울특별시 강서구 등촌동 58-1 (전화 02-3660-1600)
- 일산제작센터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탄현동 140 (전화 031-910-6000)
- 대표자 : 대표이사 사장 안국정
- 자본금:1,304억원(태영 30.0%, 귀뚜라미 13.2%, 대한투자신탁운용 9.5%, 국민연금관리공단 6.5%, 대한제분 5.6%, 개인 9.5%, 그 외 25.7%, 2004년 12월 31일 현재)
- 주식 상장:한국거래소주식시장부 증권 코드:034120
- 국내 지국:부산, 대구, 대전, 진주, 강릉
- 해외 지국:워싱턴, 뉴욕, 파리, 도쿄, 베이징
- 해외 제휴국:니혼테레비 (NTV, 일본), NBC(미국), 러시아 TV (RTR), 북경전시대 (BTV), 전시광파유한공사(홍콩 무선 TV, TVB), 중국전시공사(CTV, 대만),호치민 TV(HTV, 베트남)
- 관련 회사, 단체:SBS 프로덕션, SBS 뉴스텍, SBS 아트텍, SBSi, SBS 인터내셔널, SBS 스포츠채널, SBS 골프채널, SBS 드라마플러스, SBS 문화재단, 서암 학술 장학 재단
[편집] 방송채널
- 지상파
- TV:HLSQ-TV 6 ch(1991년 12월 개국)
- 파워FM:HLSQ-FM 107.7 MHz(1996년 11월 개국)
- 러브FM:HLSQ-SFM 103.5 MHz(1999년 1월 개국)
- AM(LOVE FM와 동일 내용):HLSQ 792 kHz(1991년 3월 개국)
- SBSu:지상파 DMB(2005년 12월 개국)
- 케이블 TV·위성
- SBS 골프 채널(1999년 6월 개국)
- SBS 스포츠 채널(2002년 3월 개국)
- SBS 드라마 플러스(2002년 2월 개국)
※그 외에 SBS 홈페이지상에서 TV·파워FM·러브FM을 인터넷 대상으로 재송신하고 있다.
[편집] 오락
- 야심만만
- 웃찾사
- 실제상황 토요일
- 일요일이 좋다
- 솔로몬의 선택
- 잉글리쉬 매직스쿨
- 진실게임
- 인기가요
[편집] 드라마
[편집] 만화*외화부문 TV시리즈
[편집]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