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칭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주(公主)는 본래 중국에서 군주의 딸을 가리킨 말이다.
옛날에는 화장령(化粧領)으로서 배령(拜領)한 땅의 이름을 취하여 ‘○○공주’라고 불렀다가〔예: 태평공주(太平公主), 안락공주(安樂公主)〕, 명나라·청나라 대에 이르러 다분히 아칭(雅稱)이 되었다.
옛날 중국에서는 황제의 맏딸을 원공주(元公主)라고 불렀다〔예: 노원공주(魯元公主, 유방의 장녀〕. 당나라·송나라 이후 황제의 누이는 장공주(長公主), 황제의 백숙모나 수대 전의 공주는 대장공주(大長公主)〔예: 진노국현목명의대장공주(秦魯國賢穆明懿大長公主)〕라고 불러 황제의 딸과 구별했다. 청나라 대에 이르러 공주에도 계급이 분화되어, 생모가 황후이냐 비빈(妃嬪)이냐에 따라 고륜(固倫)·화석(和碩)으로 구별되었다. 또한 북송 때에는 일시적으로 공주의 칭호를 폐하고 제희(帝姬)라는 칭호를 사용하기도 하였다〔예: 가덕제희(嘉德帝姫)〕.
신하가 공주와 결혼하는 것을 상공주(尙公主)라고 하였으며, 그 남편은 부마(駙馬, 청나라 대에는 액부(額駙))라고 불렀다.
한국에서도 전통적으로 군주의 딸을 공주라고 불렀으며, 다만 후궁의 소생은 옹주(翁主)라고 불렀다. 그런 까닭인지 현재의 대한민국에서는 황제의 딸이든 국왕의 딸이든 모두 공주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 고려·조선 대에서는 한때 공주 대신에 궁주(宮主)라는 칭호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일본에서는 군주가 천황의 칭호를 쓴 이래, 천황의 딸을 황녀(皇女)라고 불렀다가, 근래에 이르러 독특하게 내친왕이라고 부르고 있다.
[편집] 칭호의 유래
공주라는 칭호는 천자(天子)의 딸의 결혼식은 삼공(三公)이 주재한 데에서 비롯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