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성 치경 마찰음(有聲齒莖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잇몸에서 조음되는 유성 마찰음이다. 조음 방법을 세분화하여 치찰음인 유성 치조 마찰음과 치찰음이 아닌 유성 치조 마찰음으로 나눌 수 있다.
종류 |
치 |
치조 |
치조후 |
치찰음 |
z̪ |
z |
z̠, ʐ, ʒ |
비 치찰음 |
ð |
ð̠, ð͇, ɹ̝ |
ɻ̝ |
[편집] 조음 방법
- 혀끝과 치조 간의 간격을 좁힌다.
- 좁혀진 혀끝과 치조사이를 강하게 마찰시킨다.
- 혀끝을 내리면서, 마찰되는 공기를 강하게 내뱉음과 동시에 성대를 울린다.
[편집] 특징
- 발성 기관 속의 공기의 흐름을 유지했다가 더 강하게 내는 마찰음이다.
- 혀를 치조나 그 주변에 대는 치조음이다.
- 조음할 때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이다.
- 입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구강음이다.
- 발성 방법은 인후나 입이 아니라 폐에서 발성기관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폐장기류음이다.
[편집] 치찰음
- IPA 기호 z는 기류가 이빨 쪽으로 빠져나가는 치찰음을 의미한다.
- 치찰음이 아닌 유성 치조 마찰음을 위한 공식 IPA 기호는 없지만, 발음 구별 기호를 사용하여 표기가 가능하다.
[편집] 발음의 예
- 한국어: 고어 'ㅿ'이 이 음가를 가졌었다.
- 유럽어: sounds처럼 's'가 음이 변하는 경우와 Vaduz, schweitzer처럼 음이 변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z'가 이 소리가 난다.
닿소리 |
|
|
쌍으로 있는 기호는 왼쪽이 무성음, 오른쪽이 유성음이다. 회색 부분은 조음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진 부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