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찌민 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찌민 시(베트남어: Thành phố Hồ Chí Minh 탄 포 호 찌 민, 城舗胡志明)는 베트남에서 가장 큰 도시로 메콩 강 하구 삼각주에 자리하고 있다. 16세기에 베트남인에게 정복되기 전에는 프레이 노코르 란 이름의 캄보디아의 주요 항구였다. 사이공(베트남어: Sài Gòn, 柴棍)이란 이름으로 프랑스 식민지인 코친차이나와 그후의 독립국인 남베트남(1954년 - 1976년)의 수도이기도 했다. 1975년에 사이공은 호찌민 시로 이름이 바뀌었다.(그러나 여전히 "사이공"이 많이 쓰인다.) 시 중심부는 사이공 강의 강둑에 놓여 있고, 남중국해로부터 60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목차 |
[편집] 역사
호찌민 시는 "프레이 노코르"라는 작은 어촌 마을로 시작하였다. 현재 호찌민 시 지역은 원래 습지대였고 베트남인들이 들어오기 전에는 몇 세기 동안 크메르인들이 살아왔다. 1623년 캄보디아의 체타2세 국왕(재위: 1618년-1628년)은 베트남의 찡응웬 전쟁을 피해서 온 베트남 난민들이 "프레이 노코르" 지역에 정착하도록 허용하였고, 프레이 노코르에 세관을 짓도록 하였다. 베트남에서 온 이주민의 수는 증가하였고, 캄보디아 왕국은 타이와의 전쟁으로 약해져서 이 지역에 대한 통치력이 약해졌으며 따라서 이 지역은 서서히 베트남화 되어 갔다. 그 때 프레이 노코르가 "사이공"으로 되었다.
1698년에 후에 왕조의 응웬 가문의 통치자들은 베트남 귀족 응웬 후 껀을 보내어 이 지역에 베트남 행정 조직을 설립케 하고, 이에 간섭할 만큼의 힘도 없던 캄보디아를 이 지역에서 축출하였다. 그는 사이공의 확장에 기여한 사람으로 여겨지고 있다. "쟈 딘"이라는 거대한 성(城)이 프랑스인 건축가 보방에 의하여 지어졌는데 이는 나중에 찌 호아 전쟁 중에 프랑스에 의하여 파괴되었다.
1859년에 프랑스에 의하여 정복 이후, 이 도시는 식민지 기간 동안 프랑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현재도 수 많은 전통 서양식 건축 양식을 반영한 건물들이 남아 있다. 이는 사이공이 "동아시아의 진주"(베트남어: Hòn ngọc Viễn Đông) 또는 "동양의 파리"(베트남어: Paris Phương Đông)라고 불리는 이유이기도 하다.
1954년 프랑스는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비엣민에게 져서 베트남으로부터 축출당하였다. 그러나 비엣민은 새로운 정부로 인정받지 못하고 바오다이황제가 추대되었다. 1950년에 바오다이황제는 사이공을 수도로 삼았었다. 그 때 사이공과 베트남 화교들이 주로 거주하던 촐롱시가 하나의 행정구역으로 통합되었고 수도 사이공(베트남어: Đô Thành Sài Gòn)이라 불리게 되었다. 베트남이 북베트남(베트남 민주공화국)과 남베트남(베트남 공화국)으로 나뉘게 되었을 때, 사이공은 응오딘지엠대통령이 이끌던 남베트남의 수도였다.
베트남 전쟁의 결과, 1975년 4월 30일 이 도시는 베트남인민군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이를 미국에서는 사이공 함락이라고 부르나, 베트남에서는 사이공 해방이라 부른다.
[편집] 인구, 인종, 언어, 종교
2004년 10월 1일의 인구 조사에 의하면 호찌민 시의 인구는 611만7251명이다. 그 중 19개의 내부구역 인구가 514만0412명이고, 5개의 교외 구역 인구가 97만6839명이다. 2005년 중반의 추정 인구는 630만명인데 이 것은 베트남 전체 인구의 약 7.4%이다. 이 것은 호찌민 시가 베트남에서 고도로 인구가 집중된 도시가 되어간다는 것을 뜻한다. 행정구역 단위로 볼 때도 성(省) 단위 중호찌민 시의 인구가 가장 많다. 베트남의 가장 큰 경제 및 재정 중심도시로서 호찌민 시는 최근 몇 년 동안 다른 베트남 지역 주민을 계속 흡수하고 있어서 인구가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1999년부터 2004년 동안 호찌민 시의 인구는 매년 20만명 가량 증가해 왔다.
인구의 대부분인 90%가 베트남인이다. 다른 소수 인종으로는 중국인(8%)이 베트남에서 가장 큰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고, 그 밖에 크메르인, 참족, Nung, Rhade 가 2%를 차지한다. 호찌민 시의 주민은 영어로 "Saigonese", 프랑스어로 "Saigonnais", 베트남어로 "dân Sài Gòn"라고 한다.
베트남인은 그들 특유의 억양의 베트남어를 사용한다. 남부 억양이 50%, 북부가 30%, 중부가 20% 정도 된다. 중국인들은 광둥어, 차오쩌우 말, 푸젠 방언, 하이난 방언, 하카 말 등 중국의 방언들을 사용하고 표준 중국어를 하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하다. 영어는 관광업이나 상업 쪽에서 특히 쓰이고 있으며 일부 호찌민 시민들에게는 영어가 사실상 제2의 언어가 되고 있다.
어떤 조사에 따르면 호찌민 시민들의 종교는 불교 50%, 카톨릭 12%, 개신교 2%, 기타 2%, 무종교가 34%이다.
[편집] 관광 명소
[편집] 교통
호찌민 시 중심부에서 7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베트남 최대의 떤썬녓 국제공항이 있다.
8,000대의 택시 중 대부분은 미터기를 사용하고 있고, 보통 탈 만한 택시들이지만, 많은 택시기사들이 영어를 제대로 하지 못한다. 어떤 택시기사들은 더 많은 운임을 받기 위해 미터기 사용을 거부한다. 여행객들은 오토바이 택시(세옴)나 세바퀴 자전거 택시(시클로)를 이용할 때, 기사들이 승객들을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할 수 있으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호찌민 시의 도로 체계는 좋지 않다. 어떤 도로는 움푹 패인 데가 많으며 상당수 도로들은 일방통행 도로이다. 시내 대중교통은 버스와 택시 뿐이어서 이 도시 당국은 지하철과 지상 열차를 갖추기 위한 재원을 찾고 있다. 최근에는 특히 중국으로부터 값싼 오토바이가 대량 수입되어 이 도시의 오토바이 대수는 300만대까지 증가하였다. 여기에 40만대의 자동차가 더해져 도시의 주차난, 교통체증, 공기 오염이 가중되고 있다. 베이징이 자전거의 도시라면 호치민은 오토바이의 도시이다. 여행객들은 오토바이 운전자가 거리의 보행자와 수천명의 다른 오토바이 운전자들에 대해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므로 이 도시의 거리가 매우 위험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교통 규칙을 지키고 있으며 교통 법규에 의한 단속도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운전자들은 여전히 일방통행을 역행하거나 정지 신호를 무시하고 있다.
호찌민 시는 베트남 종단 철도의 중심 허브이다. 승객들은 북쪽으로 1950킬로미터 떨어진 하노이나 중국 국경까지 여행할 수 있다. 또한 호찌민 시와 동나이 강을 따라 사이공항, 신항, Bennghe 항, VICT 항 등 많은 항구가 있다. 이 항구들은 베트남 전체 수출입의 40%를 담당하고 있다.
호찌민 시에서 육로와 수로를 통해 남부 베트남과 캄보디아의 많은 곳으로 여행할 수 있다. 이 도시는 국립 고속도로 14번과 20번을 통해 중앙 고원지대로, 국립 고속도로 1번을 통해 북부지역으로 국립 고속도로 1번과 50번을 통해 메콩 강 삼각주 지역으로 연결되어 있다. 호찌민 시에서 메콩 강 삼각주의 중심도시인 껀터와 70킬로미터 북동쪽에 있는 동나이 성의 Dau Giay 까지 연결되는 두 개의 고속도로가 건설중이다.
2007년부터 사이공 (Sài Gòn)-쩌렁 (Chợ Lớn)-미잉따이 버스터미널 (Bến xe miền Tây)를 지나는 전철 공사 (총 자본 1억 달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이 전철은 똔득탕 (Tôn Đức Thắng), 동서대로 (Đại lộ Đông Tây), 리찌우호앙 (Lý Chiêu Hoàng) 길을 따라 운행되며 총 길이는 12km에 이른다. 또한 이 전철의 운송인원은 213-298명으로 최대 70km의 속력으로 달리며 학교, 병원, 아파트 단지 등 인구가 조밀한 지역의 23개 역을 통과할 예정이다. 베트남 정부 수상의 인준을 이미 받은 이 전철시공 계획안은 2020년까지 전개되는 호찌민 시 운송교통발전계획의 일환으로 시행되는 것이다.[1]
[편집] 바깥 고리
- ((베트남어/영어)) 호찌민 시의 공식 홈페이지
[편집] 각주
베트남의 행정 구역 |
---|
직할시 |
껀터 | 다낭 | 하노이 | 하이퐁 | 호찌민 |
성 |
까마우 | 까오방 | 꼰뚬 | 꽝남 | 꽝닌 | 꽝빈 | 꽝응아이 | 꽝찌 | 끼엔장 | 남딘 | 닌빈 | 닌투언 | 닥농 | 닥락 | 동나이 | 동탑 | 디엔비엔 | 떠이닌 | 뚜옌꽝 | 띠엔장 | 라오까이 | 라이쩌우 | 랑선 | 럼동 | 롱안 | 바리어붕따우 | 박깐 | 박닌 | 박리에우 | 박장 | 벤째 | 빈딘 | 빈롱 | 빈즈엉 | 빈투언 | 빈푹 | 빈프억 | 선라 | 속짱 | 안장 | 옌바이 | 응에안 | 잘라이 | 짜빈 | 카인호아 | 타이빈 | 타이응우옌 | 타인호아 | 투아티엔후에 | 푸옌 | 푸토 | 하남 | 하떠이 | 하띤 | 하우장 | 하이즈엉 | 하장 | 호아빈 | 흥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