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베트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공용어 | 베트남어 | ||||
수도 | 사이공 | ||||
마지막 대통령 | 즈엉반민 | ||||
마지막 총리 | 부반마우 | ||||
면적 - 전체 - 내수면 % |
173,809km² N/A |
||||
인구 - 전체 - 인구 밀도 |
19,370,000 (1973년 예측) 111.4/km² |
||||
GDP (PPP) | N/A | ||||
독립 - 선언 - 승인 - 소멸 |
프랑스 식민지로부터 1949년 6월 14일 1954년 1975년 4월 30일 |
||||
통화 | 동(Dong) | ||||
시간대 | UTC+7 | ||||
국가 | Thanh niên Hành Khúc (청년 행진곡) | ||||
주: 1954년부터 1975년까지의 반공 남베트남 영역에 대한 것이다. |
남베트남은 1954년부터 1975년까지 북위 17도 베트남 군사분계선 이남에 존재했던 나라의 속칭으로, 분계선 북쪽의 북베트남과 대치하고 있었다. 베트남 분단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종결되며 프랑스와 비엣민의 휴전협정으로 1954년 체결된 제네바 협정에 따라 이루어졌다.
- 1954년-1955년: 베트남국(베트남어: Quốc gia Việt Nam 꿕지어 비엣남, 國家越南)
- 1955년-1975년: 베트남 공화국(베트남어: Việt Nam Cộng Hòa 비엣남 꽁호아, 越南共和)
- 1975년-1976년: 남베트남 공화국. 북베트남에 패한 이후 남베트남 영역을 관리한 공산주의 임시정부로, 결국 북베트남과 베트남 사회공화국으로 통일되었다.
목차 |
[편집] 베트남국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다른 지역(안남, 통킹, 캄보디아, 라오스)이 보호령이었던데 반해 베트남 남부 코친차이나는 사이공을 수도로 하는 식민지 지위에 놓여 있었다. 1862년 프랑스에 합병된 후, 프랑스 국회에 보낼 대표자 선거가 치뤄지기도 했다. 따라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다른 지역에 비해 프랑스의 관심을 받고 있었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중에 프랑스는 코친차이나를 베트남의 다른 지역과 독립된 지위를 유지하여 속칭 "인도차이나 연방" 내의 독립국으로 유지하려 했으나 비엣민은 이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베트남국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중인 1949년 6월 14일, 반공주의 베트남인과 프랑스 정부에 의해서 세워져 국가 원수로 전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였던 바오다이가 취임했다. 프랑스는 베트남국에 부분적인 자치권을 주었다. 그러나 호찌민이 이끄는 비엣민은 이를 거부하고 베트남의 완전한 독립을 얻을 때까지 투장하였다.
1954년 제네바 협정에 의해 제네바국은 북위 17도 이남을 잠정적으로 통치하고, 선거를 통해 통일 정부를 수립하도록 결정되었다. 그러나 선거와 통일은 이뤄지지 않았다. 베트남의 분단이 결정되자 주로 가톨릭을 믿는 약 80만-100만 명의 베트남인들이 공산주의자들로의 박해를 피해 북베트남에서 남베트남으로 이주하였다. 1955년 10월 22일, 응오딘지엠이 "베트남 공화국" 수립을 선언하고 바오다이 황제를 폐위시켰다.
[편집] 남베트남의 지도자
- 응오딘지엠 (1955–1963)
- 즈엉반민 (1963–1964, 1975)
- 응우옌칸 (1964)
- Phan Khac Suu (1964–1965)
- 응우옌반티에우 (1965–1975)
- 쩐반후옹 (1975)
[편집] 같이 읽기
[편집] 바깥고리
한국어
영어
-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Vietnam 1956
- 1975: Saigon surrenders
- Timeline of NVA invasion of South Vietnam
베트남어
일본어
이 문서는 아시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정리가 필요한 문서 | 아시아 토막글 | 베트남의 역사 | 아시아의 옛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