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완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표어: 르완다어: Ubumwe, Umurimo, Gukunda Igihugu 프랑스어: unite, travail, patriotisme (르완다어: 통일, 노동, 애국심) |
|||||
국가: 르완다 응지자 | |||||
![]() |
|||||
수도 | 키갈리 1°57′S 30°4′E |
||||
공용어 | 키냐르완다어, 프랑스어, 영어 | ||||
정부 형태
대통령
총리 |
공화정 폴 카가메 베르나르 마쿠자 |
||||
독립 • * 독립날짜 |
1962년 7월 1일 벨기에로부터 독립 |
||||
면적 • 전체 • 내수면 비율 |
26,338 km² (148위) 5.3% |
||||
인구 • 2005년 어림 • 2002년 조사 • 인구 밀도 |
9,038,000명 (86위) 8,128,553명 320명/km² (27위) |
||||
GDP (PPP) • 전체 • 일인당 |
2005년 어림값 $11.24 billion (130위) $1,300 (160위) |
||||
HDI • 2003년 조사 |
0.450 (159위) |
||||
통화 | 프랑 (ISO 4217:RWF )(화폐단위: - ) |
||||
시간대 • 여름 시간 |
CAT (UTC+2) 사실상 (UTC+2) |
||||
ISO 3166-1 | (없음) | ||||
ISO 3166-2 | - | ||||
ISO 3166-3 | 준비 중 | ||||
인터넷 도메인 | .rw | ||||
국제 전화 | +250 |
르완다(르완다어: Repubulika y'u Rwanda, 국제 음성 기호: /ɾ(g)wɑndɑ/, 문화어: 롼다)는 1962년에 독립한 아프리카의 공화국이다.
목차 |
[편집] 역사
- 이 부분의 본문은 르완다의 역사입니다.
[편집] 지리
844만의 인구에 중앙동부 아프리카 의 5대호 지구 안에작은 내륙국이다. 르완다는 우간다, 부룬디 ,콩고 민주 공화국 및 탄자니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천개의 언덕의 땅"이라 불리는 비옥하고 험한 지형이며 대륙 아프리카 안에서 가장 조밀한 인구분포를 나타낸다.
[편집] 기후
르완다는 열대국가 이지만 높은 해발 덕분에 온화한 기후이다. 산에는 서리와 눈도 내린다. 르완다는 2개의 우기(2월-5월, 9월-12월) 동안에 강한 뇌우를 동반하기 때문에 번개로도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연간 강수량은 평균 830mm. 그러나 동쪽 대초원들보다 북서쪽 산에 집중된다.
[편집] 주민
1994년에 인구는 775만명이었다. 약 89%가 후투족, 그 이외는 투치족이다. 82%가 크리스트교, 그 이외는 토착 종교 등이다. 공용어는 키냐르완다어, 프랑스어와 1996년에 추가된 영어등 3개어다.
영어는 정부의 웹사이트의 공식어와 국립르완다대학교의 교수언어가 되어 가장 영향력있는 언어가 되었다. 2004년부터는 프랑스어와 르완다어로 표기된 지폐가 앞면에는 르완다어, 뒷면에는 프랑스어와 영어로 바뀌면서 명실상부한 영어사용국이 되었다. 카카메의 영어숭배는 도구적인 것을 뛰어넘어서, 목적이 되었다. 르완다 정부의 공식홈페이지의 언어란을 보면, 영어, 키냐르완다어, 프랑스어, 스와힐리어 순으로 적고 있다. 물론 정부의 공식홈페이지도 영어만으로 작성한다. 카가메대통령은 인종학살의 과거심판 못지않게 자신이 저지르고 있는 언어표현권의 침해 및 문화다양성에 심히 역행하고 있다는 일부의 지적에도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벨기에라는 식민종주국이 심어놓은 프랑스어가 식민주의적이라면 세계를 식민주의로 물들고 있는 미국과 영국 그리고 아프리카에서 그 대리역할을 하고 있는 남아공과 나이지리아의 언어인 영어는 더욱 식민주의적이라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이점은 만델라도 같은 경우다.
미국은 중서부아프리카가 프랑스어사용국으로 남아있는 상태에서 자신의 영향력을 제고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음을 직시하고, 르완다와 콩고민주공화국을 영어사용국으로 만들기 위해 모든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이런 배경에는 우간다에서 영어로 훈련받은 투치족 80만명이 입국하면서 권력을 장악한 것이 크게 작용했다. 르완다는 2006년 가을 프랑스와 외교관계를 중단했다. 이윽고 2006년 12월 21일 르완다는 영연방 회원국을 위한 후보에 입후보한다고 공식발표했다. 그 최종적인 심사는 내년 우간다에서 열릴 영연방정상회담이 될 것이다.
한편 르완다는 프랑스어의 사용이 명목적인 것이지만 국제프랑스어사용국기구(프랑코포니)의 정회원국이다. 프랑코포니에서 별다른 활동을 하지 않는데다가 대외활동을 우간다 케냐 탄자니아 등 영어권 동부아프리카를 중심으로 펼치고 있어서 프랑코포니에서 탈퇴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실제로 르완다에선 프랑스어는 거의 죽어가고 있는 언어다.
[편집] 행정 구역
2006년 1월 1일 부터 과거의 12개의 1차 행정 단위를 5개로 재편성하였다.
새롭게 편성한 1차 지방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다.
- 남부 (Province du Sud)
- 서부 (Province du l'Ouest)
- 북부 (Province du Nord)
- 동부 (Province de l'Est)
- 키갈리 시 (Ville de Kigali)
위 5개 행정단위는 2차적으로 30 개 지구(district), 3차적으로 416 구역(secteur)로 나뉜다.
[편집] 문화
[편집] 바깥 고리
- ((영어)) 르완다 정부 홈페이지
- ((르완다어/프랑스어/영어)) 르완다 의회 홈페이지
- 주탄자니아 대사관의 르완다 설명
아프리카의 나라 | ![]() |
---|---|
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 니제르 | 라이베리아 레소토 | 르완다 | 리비아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말리 | 모로코 | 모리셔스 | 모리타니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세이셸 소말리아/소말릴란드 | 수단 | 스와질란드 | 시에라리온 | 알제리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이집트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콩고 민주 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 튀니지 |
|
비독립국 | |
레위니옹¹ | 마데이라 제도¹ | 마요트 | 멜리야¹ | 서사하라 | 세우타¹ | 세인트헬레나 (어센션, 트리스탄다쿠냐) | 아소르스 제도¹ | 카나리아 제도¹ | |
¹.나라 목록 243개 국가에 포함되지 않는 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