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수학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차 |
[편집] 소개
수학 관련 문서들을 사용자들이 모여 조금 더 조직적으로 만들어나가자는 생각으로 이 프로젝트를 다시 활용해 봅시다. 좀 규모가 있는 타언어 위키백과에는 수학 포털을 대문 형식으로 만들어 수학에 관련된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인 목표는 한국어 위키백과에도 수학 포털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수학을 전공하거나 수학을 좋아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은데 수학관련 문서들이 잘 늘지 않는 것이 의문입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참여 부탁드립니다. 사용자:Xaos
[편집] 참여자
참여자들은 자신의 사용자 소개에 {{위키프로젝트 수학 참가자}}를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편집] 수학 전공자
- 사용자:Jinhyun : 많은 수학의 분야들 중, 대수기하학을 생업으로 합니다. 수학 용어들을 한국어로 번역해서, 많은 수학 전문서적들을 한국어로 번역하는 일도 꿈꾸고 있습니다. 제가 진행하는 프로젝트들은 제 사용자 페이지에서 볼수 있습니다.
- 사용자:Acepectif 수학과 학부생입니다. 가끔 수학에 관한 글을 영어판에서 번역하고 있습니다.
- 사용자:Rudius : 수학과 학부생입니다.
[편집] 수학 비전공자
- 사용자:Xaos
- 사용자:리듬 : 공학을 통해 수학을 배운 수학 비전공자이고, 수학을 배운지 오래된 회사원이지만 수학기초론/수학사에 관심이 많습니다.
- 사용자:Only2sea : 컴퓨터 과학에 관심이 많고 수학 관련 내용도 적지 않기 때문에 수학 프로젝트에도 참여합니다.
- 사용자:Kanie : 컴퓨터 그래픽스 전공자입니다. 정수론/조합론/증명론/선형대수 쪽에 관심이 있습니다.
- 사용자:Unypoly : 수학 비전공자이지만, 수학에 관심이 많아 이 프로젝트에 참여합니다.
- 사용자:Miracleezz : 수학 비전공자이지만, 학교에서 수학을 배우기 때문에 학교에서 배우는 최소한의 이론만큼은 최대한 노력해보고 싶군요.
- 사용자:Yeom0609 : 기하학 쪽 문서가 많이 없는것을 보고 이 프로젝트에 참여합니다.
[편집] 작업방향 토론
[편집] 용어 번역
용어 번역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w:en:falling factorial을 어떻게 번역해야 좋을까요? 일단 내림차례곱이라고 번역해 보았습니다만, 사용되는 예를 찾기가 힘드네요. 수학 용어들을 번역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있을까요? 그리고 이런 류의 토론은 여기다 쓰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다른 곳에 쓰는 곳이 좋을까요. --염재현 2006년 4월 8일 (토) 21:20 (KST)
남한에서는 보편적으로 번역되지 않았지만, 북한에서 쓰이는 수학용어가 순우리말로 오히려 더 좋은 경우가 많이 있는 듯 합니다. 우리말 표기가 적당한 것이 없다고 생각될 경우 찾아보면 좋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듯 합니다. 문화어 병기도 좋겠다 생각합니다. 북한과학기술사전 수학편을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Sangil 2006년 9월 22일 (금) 02:20 (KST)
[편집] 편집 원칙
편집 원칙에 대한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어제 거듭제곱 편집을 둘러싸고 Allen R Francis님과 Klutzy님이 가볍게 편집 다툼을 하는 것을 봤습니다. 최근에 수학 관련 표제어에 대한, Klutzy님의 열정적인 편집 참여로 수학 관련 기사가 굉장히 풍부해짐을 느낍니다만, 너무 엄밀하고 고등수학 용어를 사용하는 편집을 함으로써 백과사전 이용자들이 수학 용어를 이해하는 데는 오히려 까다롭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표제어에 대한 기술은 가능하면 일상어를 통해 간략하고 평이하게 서술하되, 수학적인 엄밀한 정의는 하위 항목에 상세하게 다루는 방향으로 편집하는 게 좋겠습니다. -- 리듬 2006년 8월 31일 (목) 07:42 (KST)
- 이제서야 봤네요. --; 편집 싸움이 아니라 서버가 불안정해서 잠시 서로간에 착오가 있었습니다. 어쨌든.. 저도 좀 더 쉽게 풀어 설명하는 부분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삼각형의 세 변에 대한 부등식을 보려고 삼각 부등식을 열었더니 벡터라는 이상한 게 튀어나오면 당황할테니까요. (반성..) 앞 부분에는 엄밀하지는 않지만 이해하기 쉬운 설명을 쓰고, 그 다음의 문단부터 엄밀한 내용을 추가하는 방식은 어떨까요? --Klutzy 2006년 10월 9일 (월) 05:22 (KST)
[편집] 기울인 글씨(이탤릭체)의 사용에 대해
저는 요즘 수학 관련 문서를 편집할 때 수학 기호를 나타내는 영어 알파벳에 기울인 글씨를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영어에서 "Let a be a natural number" 등의 문장에 기울인 글씨를 사용하는 것은 그렇지 않으면 a가 관사인지 수학 기호인지가 불분명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반면 한국어의 "a가 자연수라 하자"와 같은 문장은 의미가 전혀 애매하지 않으므로 기울인 글씨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참고 삼아, en:Algebraic Geometry와 대수기하학 문서를 비교해 보십시오.)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Acepectif 2007년 4월 10일 (화) 07:21 (KST)
- 일리가 있는 말씀이지만, 만약 가정에서 쓰인 기호가 이탤릭체였다면, 그 기호를 이용한 수식도 또한 이탤릭체로 쓰이는 것이 당연하듯이 (이거 당연한가요? ^^;) 만약 이탤릭체가 아닌 보통체로 기호를 가정에 썼다면, 수식에서도 보통체로 언급해야 하지 않을까요? 이런 감각은 특수한 경우인지, 타당한지 관심있는 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네요. -- tiens 2007년 4월 10일 (화) 13:01 (KST)
- 저는 정성을 다해(--;) 편집할 때에는 아예 <math>a</math>와 같이 씁니다. 환경 설정에서 수식을 항상 PNG로 표시하면 깔끔하게 보이거든요. --Klutzy 2007년 4월 10일 (화) 13:20 (KST)
- 저도 tien님과 비슷한 고민을 하다가 이 주제를 여기에 올리기로 했습니다. 일단 위키백과 내에서 수식이 자동으로 이탤릭화 되는 것을 한국어판에서만 막는 게 원칙적으로 가능한가요? 가능하다고 해도 그런 조치를 취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저로서도 확신이 들지 않지만 말입니다. --Acepectif 2007년 4월 11일 (수) 03:58 (KST)
[편집] 표제어의 선택에 대해
위와는 다른 문제로, 표제어를 정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를 해 봅시다. 현재 위키백과에는 커널 (수학) 문서와 층 (수학) 문서가 공존하고 있습니다. 한국 수학계에서 "전혀" 쓰이지 않지만 대한수학회에서 지정한 번역어가 있을 경우, 원어를 음역한 것을 표제어로 할지 번역어를 표제어로 할지 원칙을 정해야 하지 않을까요? (참고로 구글에서 "핵"과 "아벨군"을 함께, "층"과 "코호몰로지"를 함께 검색할 경우, 상관없는 의미를 제외하면 각각 4히트와 7히트가 나옵니다. 위키백과의 미러까지 제외하면 3히트와 0히트.) 위의 문제와 함께 여기에 대해서도 의견 부탁합니다.
(여기에 대해 스스로 한 가지 제안을 하자면, 대한수학회의 번역어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그게 아주 부자연스럽다고 느끼는 경우에는 투표를 통해 과반수의 지지를 얻은 경우에 한해 음역이나 다른 번역어를 사용하는 것도 허용한다는 게 어떨까요? 이 경우 커널 (수학) 문서는 투표가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임시로 핵 (수학)으로 이동시키게 됩니다.) --Acepectif 2007년 4월 10일 (화) 07:21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