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파란악마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파란악마님, 안녕하세요!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앞으로도 오랫동안 위키백과와 함께 해 주셨으면 합니다. 다음 문서들은 위키백과에 익숙해지시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또한 처음 오신 분들을 위한 길라잡이가 있습니다. 꼭 읽어 보시기 바라며, 토론 문서 등에 의견을 남기실 때는 로그인 상태에서 편집 창에 물결표를 이렇게 ~~~~ 네 개 이어서 써 넣으시면 자동으로 서명이 추가됩니다. 위키백과에 어느 정도 익숙해졌다고 생각하셨다면 이 환영글을 지워주세요. If you cannot speak Korean, click here. - 환영위원회 |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6년 10월 6일 (토) 16:26 (KST)
[편집] br 태그
<br>태그는 될 수 있으면 사용하지 말아주세요. 엔터 키 두 번 누르는 것으로 대체 가능합니다.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6년 10월 8일 (월) 15:51 (KST)
[편집] 에리히 호네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내용을 무단으로 전재한 것이군요. 위키백과는 저작권 문제에서 자유로운 공개된 백과사전을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저작권이 있는 다른 자료의 무단 "펌질"은 삼가해주세요. -- ChongDae 2006년 10월 8일 (월) 17:49 (KST)
[편집] 년도/날짜 문서의 링크
년도/날짜 문서에는 보통 그 연도/날짜와 직접 연관되는 문서만 연결합니다. 예를 들어서 연도 문서에서 사람들의 국적에 링크를 모두 걸면 역링크(여기를 가리키는 글)를 확인했을 때 그 연도가 실제로 그 나라와 연관되었는지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일단 링크는 모두 빼 두었습니다.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10월 9일 (화) 20:41 (KST)
[편집] 옮겼습니다. 지금 확인해 보세요
세오테뤼(자·논·여) 2006년 10월 14일 (일) 19:25 (KST)
[편집] 카를/칼
독일어 표기법과 용례집에 따라 옮기는게 맞겠죠? 발음이야 사람에 따라서 다르게 들릴 수 있습니다. -- ChongDae 2006년 10월 18일 (목) 23:44 (KST)
[편집] 번역
저는 번역을 잘 못하니 나중에 같이 번역해요. --루스 2006년 10월 22일 (월) 15:39 (KST)
[편집] 분류
분류는 {{}}로 묶는 것이 아니라, [[ 하고 ]]로 묶습니다. -- 파란로봇군 (토론) 2006년 10월 28일 (일) 17:56 (KST)
[편집] 언어 바벨
언어 바벨에는 해당언어만 표기합니다. 따라서 편집하신 내용을 rv하였습니다. 언어 바벨은 다른 언어판에서 온 (예를 들어 한국어를 모르는 중국어 사용자가) 그 언어로 말할 수 있는 사용자에게 쉽게 도움을 받게 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Allen 2006년 10월 29일 (월) 17:46 (KST)
[편집] 2키 3스케
더 쓰실 말이 많이 있나요? 만주국에 있는 내용과 동일한데, 특별히 더 자세히 소개할 내용이 없다면 따로 분리해서 만들 필요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 --정안영민 2006년 11월 5일 (월) 20:20 (KST)
[편집] Kuba
en:Kuba가 동음이의어 문서인 것을 확인하고 붙인 것입니다. 쿠바 왕국에 대한 내용은 en:Kuba Kingdom에 있네요. --Puzzlet Chung 2006년 11월 5일 (월) 20:23 (KST)
[편집] 광명역 문서가 따로 있습니다.
광명역 (경부고속철도)에 굳이 "다른 뜻" 틀을 붙일 필요가 있을까요? -- ChongDae 2006년 11월 6일 (화) 19:15 (KST)
- 물론 광명역 (경부고속철도)나 광명역 (평양)에 들어갔다는 것은 광명역 문서에 들어갔거나 다른 문서에서 링크되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또다른 광명역에 대해 궁금해하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그냥 광명역 문서로 가게 다른 뜻 틀을 달아도 될 것 같습니다. 대답은 제 사용자 토론에 해주십시오.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파란악마(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
- "문서이름 (XXX)"가 이미 같은 이름의 다른 문서가 있다는 뜻입니다. -- ChongDae 2006년 11월 7일 (수) 17:34 (KST)
[편집] 그림:Hungary 1957~1989.png
공용에 같은 그림이 있어 삭제합니다. 여지간한 국기는 commons:Category:Flags by country에 다 있습니다. -- ChongDae 2006년 11월 8일 (목) 19:58 (KST)
[편집] .bv
부베 섬은 무인도가 아닌가요? “부베 섬의 사람들이 부베 섬은 노르웨이의 영토라고 생각해”라는 문장이 성립될 수 있는 것인지요? :) --정안영민 2006년 11월 13일 (화) 18:08 (KST)
[편집] 틀:이란
테헤란이 아니라 테헤란 주가 들어가야 하는 것 아닌가요? 그밖의 다른 주도 마찬가지고요. -- ChongDae 2006년 11월 17일 (토) 23:28 (KST)
[편집] 독일연방공화국
서독의 공식 명칭일 뿐 아니라, 현재 독일의 공식 명칭이기도 합니다. -- ChongDae 2006년 11월 21일 (수) 16:53 (KST)
[편집] 북조선 행정구역 편집
제가 님이 편집하신 의주군 문서를 다시 문화어로 바꿨는데, 표준어로 바꾸지는 마십시요. 그리고 여기는 한국어 위키백과이기 때문에 표준어나 문화어로 쓸 수 있습니다. 바꾸지는 마십시요. --루스 2006년 11월 23일 (금) 22:21 (KST)
[편집] '피난'과 '피란'
사랑방에서 '피난'이 '피란'으로 바뀌었다고 쓰셨는데, 이 둘은 뜻은 비슷해도 엄연히 다른 낱말입니다. '피난'은 재난을 피해 옮겨 가는 것이고, '피란'은 난리를 피해 옮겨 가는 것입니다. ―에멜무지로 (nfj4alf·'vyvs·kdje·lta;v·kdyvx·icjdw) 2006년 12월 12일 (화) 12:53 (KST)
[편집] 틀:수도권 1호선
경인선에 자꾸 ‘(남영역부터 구로역까지 경부선과 동일)’을 붙이시는군요. 경인선의 기점은 구로역이고, 굳이 경부선과 동일구간이라는 것을 나타낼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정식으로 경인선은 경부선과 독립된 노선입니다(열차 운행은 전혀 안 그렇지만). 그리고, 틀토론:수도권 1호선도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IRTC1015(論·與·情) 2006년 12월 17일 (일) 10:15 (KST)
[편집] 미개통역과 기타 등등
미개통역에 일일히 역명판을 붙일 필요가 있을까요? 그렇다면 온수역과 부평구청도 2011년쯤(분당선 왕십리 방면 개통과 거의 동일) 개통할 7호선 연장구간 문서도 일일히 다 만들어야 합니다. 미개통역 문서는 안 만들거나 만들어졌더라도 역명판을 빼는게 좋지 않을까요? 그리고 미개통역의 경우 아직 안만들고 개통 임박했을 때쯤 만들어도 문제가 없을 것이라 봅니다. 그리고 삼릉역 만드셨던데 역번호가 K211 맞나요? 저도 미개통역 역번호 잘 모릅니다.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6년 12월 18일 (화) 18:05 (KST)
[편집] 분당선 개통예정역
아직 개통이 멀었고, 개통하면서 역 이름이 바뀔 수도 있지 않을까요? -- ChongDae 2006년 12월 18일 (화) 18:53 (KST)
- 그러면 일단 7호선 연장구간까지만 미리 만들
겠습니다.고 나중에 역 이름이 바뀌면 고치겠습니다. --파란악마 (소개/토론/기여/정보/로그/메일) 2006년 12월 18일 (화) 19:01 (KST)
-
- 7호선 연장구간, 9호선, 인천공항철도 모두 마찬가지 아닌가요? 역 이름, 역 번호 등이 미정인 것은요. -- ChongDae 2006년 12월 18일 (화) 19:02 (KST)
-
-
-
- 그 노선도에도 이미 의정부북부역/동두천역/동두천중앙역과 같은 예가 있군요. 역 이름이 개통 전에 바뀐다는 좋은 예네요. -- ChongDae 2006년 12월 28일 (금) 18:32 (KST)
-
-
[편집] 지하철역 이동?
기준이 뭐죠? -- ChongDae 2006년 12월 28일 (금) 18:01 (KST)
-
-
-
- 위키백과:동음이의어 문서의 기준을 참고해주세요. 그리고 용산역은 대구 지하철의 역 이름이기도 합니다. -- ChongDae 2006년 12월 28일 (금) 18:17 (KST)
-
-
-
-
-
-
-
- 가깝지만 환승할 수 없는 역으로는 신촌역, 수색역 같은 경우도 있습니다. -- ChongDae 2006년 12월 28일 (금) 18:36 (KST)
-
-
-
-
네. 부산역은 서울역/용산역처럼 기차역을 대표역으로 삼는게 맞겠죠. (대전역, 동대구역, 대구역 등도 마찬가지겠죠?) 이런 경우는 기차역과 지하철역을 한 문서에서 다뤄도 될 듯 싶기도 하고요. (두 역사가 서로 붙어있는 경우니깐요.) -- ChongDae 2006년 12월 29일 (금) 10:41 (KST)
[편집] 차두리 문서 번역
en:Cha Du-Ri를 번역해 주시면 안될까요? 부탁합니다. --루스 2006년 12월 30일 (일) 19:04 (KST)
[편집] 레페르쿠젠?
Leverkusen의 표기로 레버쿠젠이나 레베르쿠젠은 좀 보이지만 레페르쿠젠은 처음 보네요. 확인 부탁합니다. -- ChongDae 2007년 1월 1일 (화) 18:44 (KST)
- 독일어이니까 레퍼쿠젠 혹은 레페르쿠젠이 맞습니다. 독일어가 아니라면 할말 없지만 말입니다. --파란악마 (소개/토론/기여/정보/로그/메일) 2007년 1월 1일 (화) 21:35 (KST)
[편집] 파란악마님, 나중에 로표모에서 토론할 게 있습니다.
제가 나중에 로표모에서 토론을 할려고 합니다. 그래서 내일쯤 토론을 할려고 합니다. 시간이 있으시면, 잠시 와서 토론에 참여해 주세요. 제가 다지모에 건의할 게 있어서 그렇습니다. --루스 2007년 1월 31일 (수) 00:38 (KST)
-
- Большое спасибо^^. --루스 2007년 1월 31일 (수) 00:52 (KST)
[편집] 왜 일본어로 이야기를 했어요?
저하고 토론할 때 왜 일본어로 이야기를 했어요? 한국어로 말할 수도 있었잖아요. --루스 2007년 2월 2일 (토) 21:14 (KST)
- 그냥 심심해서요-ㅅ-;; 그래도 알기 쉽게 한자를 많이 섞어서 썼습니다. --파란악마 (소개/토론/기여/정보/로그/메일) 2007년 2월 2일 (토) 21:20 (KST)
- 휴유, 전 님이 제 일본어 능력을 시험한 줄 알았잖아요. 그런데 그게 심심했다니... 저는 처음에 이것때문에 진땀을 뺐습니다. 그래도 다행이네요^^. 감사합니다^^. 나중에 시간나시면 제주도로 놀러오세요^^. --루스 2007년 2월 2일 (토) 21:22 (KST)
[편집] 오늘 키릴판 토론을 할 예정입니다.
일단 오늘 로표모에서 키릴판 토론을 할 예정입니다. --루스 2007년 2월 7일 (목) 19:53 (KST)
[편집] 제주도말을 좀 할 줄 아시나요?
제주도말을 좀 할 줄 아시나요? --루스 2007년 2월 20일 (수) 22:38 (KST)
-
- 그러면 나중에 제가 제주도말을 가르쳐 드릴게요. 전 제주도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도움이 됩니다. 그럼 다음에 또... --루스 2007년 2월 20일 (수) 22:44 (KST)
[편집] 사용자:IRTC1015/위키프로젝트 철도
현재 준비중입니다. 관심이 있으시다면 준비에 동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S: {{주변역}}을 활용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대체가 아직 한참 남았거든요; -- IRTC1015(論·與·情) 2007년 2월 20일 (수) 22:52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