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쿠가와 이에야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쿠가와 이에야스 (덕천가강. 德川家康, とくがわ いえやす, 1543년 1월 31일 - 1616년 6월 1일)는 일본 에도 막부의 초대 쇼군(將軍, 1603년 - 1605년)이자 다이죠 다이진(太政大臣, 1616)이다.
[편집] 생애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미카와노쿠니(三河國)의 오카자키(岡崎)(현재 아이치 현)에서 영주 마쓰다이라 히로타다(松平廣忠)의 아들로 태어났다. 당시의 이름은 다케치요(竹千代)였으며 그는 세이와 천황의 후손이기도 하다.
다케치요는 당시 센고쿠 시대 즉, 각 지방 다이묘들의 권력투쟁의 치열한 정세 속에서 인질로서 타향살이도 많이 했고 그곳에서 결혼도 하였다. 1566년 비로소 자신의 성명을 도쿠가와 이에야스로 확정짓고 당시 세력을 확장하던 오다 노부나가를 도와 천하통일의 기반을 구축하게 하였다. 1582년 노부나가가 아케치 미츠히데의 배신으로 죽고 1584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전쟁 직전까지 갔으나 화의를 성립시켰다. 이후 그를 도와 1590년 전국 통일을 이루고 자신은 에도 성(江戶城 : 현재 도쿄)을 축조하였다.
1592년-1598년 히데요시가 임진왜란을 강행할 때 이에야스는 치안을 이유로 일체 군사를 보내지 않았다. 1598년 히데요시의 사후 그 후계자 히데요리(秀賴)를 보좌하는 원로회의에서 이에야스와 이시다 미쓰나리(石田三成)가 경쟁자로 떠올랐다. 1600년 10월 지금의 기후 현에 위치한 세키가하라(關ケ原)에서 이에야스를 지지하는 세력은 동군(東軍), 미쓰나리를 지지하는 세력은 서군(西軍)으로 포진하여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결국 동군의 완전한 승리로 끝나고 서군의 주요 세력들은 더러는 처형당하거나, 영지가 몰수되어 평민으로 전락하였다.
1603년 이에야스는 당시 형식적 존재였던 천황으로부터 세이이다이쇼군(征夷大將軍)으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에도에서 가까운 지역일수록 도쿠가와 집안 사람을 신반다이묘(親藩大名), 그 다음으로 대대로 도쿠가와 가문을 섬겨 온 직계 가신을 후다이다이묘(譜代大名), 제일 변방 지역에는 도쿠가와에 저항 가능성이 있는 도자마다이묘(外樣大名)로 좌천해버렸다. 이에 불만을 품은 도자마다이묘들은 후에 막부반대운동에 가담한다.
1605년 이에야스는 쇼군의 직위를 도쿠가와 히데타다(德川秀忠)에게 물려주고 자신은 오고쇼(大御所)가 되어 슨푸(駿府 : 현재 시즈오카 현)에 머물렀다. 1607년 조선통신사(朝鮮通信使)를 일본에 초청하여 양국 간의 국교를 회복하고 이후 200년 간 조선통신사를 중심으로 교류가 전개되었다.
일찍이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그리스도교를 다소 묵인해 왔으나 1597년 선교사, 신도 등 26명을 나가사키에서 처형함으로써 박해의 포문을 열었다. 이에야스도 1612년 그리스도교 금지명령을 내려서 종교를 앞세워서 세력을 확장하던 서구 열강을 배척하였다. 당시 에스파냐나 포르투갈에서 온 예수회의 선교사들은 모두 필리핀등으로 추방되었고, 신도들은 성화상을 밟느냐, 아니냐로 고민할 것을 강요당하거나, 가쿠레다 기리시단이라고 하여 동굴등에 숨어들었다. 이러한 수난사는 일본 가톨릭 작가인 엔도 슈사쿠의 소설 침묵에 잘 나와 있다.
1614년 당시 오사카(大阪)에 머무르고 있던 히데요리에게서 역모 혐의가 있다는 보고를 들은 이에야스는 1615년 - 1616년에 걸쳐 오사카 성을 대대적으로 공격하게 하였다. 하지만 히데요리의 역모혐의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재건된 오사카 성의 종(鐘)에 걸린 문장을 빌미로 해서 만들어낸 것이었다. 그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뒤를 이어서 권력을 잡았을때 5살에 불과했던 도요토미 히데요리가 20살의 청년이 되어 권력유지에 배치되는 요소가 되었기 때문에, 역모혐의를 만들어내서 공격한 것이다. 결국 오사카 전투에서 도쿠가와 군대의 기만전술로 패한 히데요리는 자결하고 오사카 성은 1616년 여름에 함락되었다. 이로써 도쿠가와 이에애스의 에도 막부는 단단한 권력기반을 갖게 되었다. 같은 해 천황로부터 다이죠 다이진에 임명된 이에야스는 4월 17일 슨푸에서 73년의 생애를 마감하였다.
그의 위패를 모신 사당을 동조궁(東照宮)이라 하며 닛코(日光)를 중심으로 일본 각지에 세워져 있다.
대망은 도쿠가와 이야스를 주인공으로 하는 장편 대하소설이다. 작가는 야마오카 소오하치.
[편집] 참고 사항
전 임 - |
제1대 도쿠가와 쇼군 1603년 2월 12일 - 1605년 4월 16일 |
후 임 도쿠가와 히데타다 |
에도 막부의 역대 쇼군 |
---|
도쿠가와 이에야스|도쿠가와 히데타다|도쿠가와 이에미쓰|도쿠가와 이에쓰나|도쿠가와 쓰나요시|도쿠가와 이에노부|도쿠가와 이에쓰구|도쿠가와 요시무네|도쿠가와 이에시게|도쿠가와 이에하루|도쿠가와 이에나리|도쿠가와 이에요시|도쿠가와 이에사다|도쿠가와 이에모치|도쿠가와 요시노부 |
에도 막부의 쇼군 가계도 |
제1대 도쿠가와 이에야스┬노부야스 ├히데야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