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새마을호는 한국철도공사의 장거리 열차 등급 이름이다.
목차 |
[편집] 역사
1969년 6월 1일, 새마을호의 전신인 관광호가 서울-부산간을 처음 운행한 것이 시작이다. 관광호는 1974년 8월 15일에 새마을호로 이름이 바뀌었다. 유선형 새마을호 객차는 1986년부터 제작되었으며 현재는 영업 운행에 투입하고 있지 않다. 동차형 새마을호(DHC)는 1987년부터 제작되었다. 새마을호의 최고속력은 150km/h이고 영업최고속력은 140km/h이다. 새마을호는 새마을 운동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
개통 이후 새마을호는 2004년 4월 1일에 KTX가 영업을 시작하기 전까지는 줄곧 대한민국의 최고 등급의 열차였으나, KTX의 개통 이후 그 등급이 한 단계 내려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혹자는 프랑스에 TGV, 일본에 신칸센이 있다면, 한국에는 새마을이라고 하며 새마을호의 편안함을 이야기하기도 한다.
[편집] 차량
- 38~39 : 유선형 새마을호 식당차
- 41~50 : 장대형 새마을호 식당차
- 101~216 : 동차형 새마을호 동력객차. 이 중 101~130호는 종아리 받침이 없다.
- 251~262 : 동차형 새마을호 동력객차
- 301~446 : 동차형 새마을호 일반실. 이 중 301~344호는 종아리 받침이 없다.
- 501~513 : 동차형 새마을호 일반실. 모든 좌석에 종아리 받침이 없다.
- 521~585 : 동차형 새마을호 일반실
- 611~649 : 동차형 새마을호 특실. 이 중 611~619호는 종아리 받침이 없다.
- 701~715 : 동차형 새마을호 일반실 (구 특실전용)
- 751~755 : 동차형 새마을호 일반실 (구 특실전용)
- 781~787 : 동차형 새마을호 일반실 (구 특실전용)
- 10031~10033 : 유선형 새마을호. 절반은 식당차로, 절반은 객차로 구성되어 있다.
- 10041~10047 : 장대형 새마을호 특실
- 10051~10059 : 유선형 새마을호 일반실 (10054, 10055는 화재로 인해 운행불가)
- 11101~11084, 10086 : 장대형 새마을호 일반실
[편집] 운행 노선
아래의 운행 노선은 2006년 11월 1일의 시각표 개정에 따른 노선이다.
- 경부선 : 서울-부산/해운대
- 경의선 : 서울-임진강
- 경부선, 경전선 : 서울-마산, 진주
- 경부선, 동해남부선 : 서울-울산/포항
- 장항선 : 용산-장항
- 호남선 : 용산-광주, 용산-목포
- 전라선 : 용산-여수
- 경전선, 진해선 : 대구-진해
[편집] 과거 운행 노선
[편집] 2004년 7월 15일 개정 시각표
- 서울-부산/해운대
- 서울-마산
- 서울-진주
- 서울-울산/포항
- 용산-장항 : 용산-영등포-수원-천안-온양온천-예산-홍성-광천-대천-웅천-서천-장항
- 용산-광주 : 용산-영등포-수원-서대전-계룡-논산-익산-김제-신태인-정읍-장성-광주
- 용산-목포
- 용산-여수
- 청량리-안동 : 청량리-양평-원주-제천-단양-풍기-영주-안동
- 청량리-강릉 : 청량리-양평-원주-제천-영월-증산-사북-고한-태백-도계-동해-묵호-정동진-강릉
[편집] 함께 보기
[편집] 바깥 고리
![]() |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한국 토막글 | 철도 토막글 | 대한민국의 철도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