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차형 새마을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차형 새마을호 Diesle Hyduralic Car |
|
---|---|
신도색 새마을호 동차 (선두차) | |
기관 형식 | MTU 16V 396TC14 |
기동가속도 | D형: 0.591Km/h/s S형: 0.62Km/h/s |
영업최고속도 | 150Km/h |
감속도 | 3.31Km/h/s |
견인력 | 3,960마력 |
주 용도 | 여객 |
차량 정원 | 선두차: 20명 일반실A: 68명 일반실B: 64명 특실: 60명 식당차: 56명 |
차량 중량 | 선두차: 69.71t 일반실A: 37t 일반실B: 39t 특실: 39t 식당차: 38t |
궤간 | 1,435mm |
제동 방식 | KbrXI 전동식 공기제동 |
보안 장치 | ATS |
제작사 | 현대정공,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
제작 연도 | 1987~1994 |
동차형 새마을호(영어: Diesel Hyduralic Car)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용하는 디젤 동차의 이름이다. 편성의 앞과 뒤에 기관이 있어 Push-Pull로도 불린다. 첫 번째 동차형 새마을호는 1987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새마을호 열차의 속도 향상을 위해 도입되었다. 이후 1994년까지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현대정공에서 차량을 반입하여 운용중이다. 구입 가격을 낮추기 위해 차량의 대부분은 리스로 구입하였다. 동차형 새마을호는 열차의 편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편성 안에서의 차량 번호가 일정하지 않다. 대부분 여객에 투입되는 차량은 7량 1편성 또는 8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1987년 도입 차량의 내구 연한 20년에 해당하는 2007년부터 차례로 퇴역할 예정이다.
[편집] 운행 구간
기관차 견인 열차와 달리 전차대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거의 모든 새마을호 열차에 동차형 새마을호가 투입된다. 대표적인 노선은 다음과 같다.
- 서울-부산/해운대
- 서울-울산/포항
- 용산-목포
- 용산-광주
- 용산-장항
- 대구-진해
[편집] 함께 보기
[편집] 바깥 고리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철도 토막글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