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작 뉴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이작 뉴턴 경(Sir Isaac Newton, 그레고리력 1643년 1월 4일 - 1727년 3월 31일, 율리우스력 1642년 12월 25일 - 1727년 3월 20일)은 영국의 물리학자, 수학자, 천문학자, 자연철학자이자 연금술사이다.
목차 |
[편집] 생애
아이작 뉴턴은 청교도혁명이 일어난 해인 1642년 12월 25일 영국 링컨셔(Lincolnshire)의 울즈소프태생이다. 그의 아버지는 작은 규모의 지주였으며 뉴턴이 태어나기전에 죽었다. 어머니는 아들을 할머니 손에 맡기고,개신교 목사인 바나바 스미스와 재혼했다. 뉴턴은 후에 어머니와 새아버지를 죽이고 싶어할 정도로 미워한 잘못을 뉘우쳤을 정도로 새아버지를 매우 미워했다. 학교생활도 원만하지 못해서 할머니가 학교에 데려다주실 정도였지만, 대신 명석한 머리와 자연에 대한 호기심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조카의 재능을 알아본 외삼촌이 뉴턴의 어머니를 설득, 1661년에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했는데, 뉴턴은 대학생시절부터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1561년-1626년)과 르네 데카르트(Rene Descartes,1596년-1650년) 등 초창기 과학자의 저작에 주석을 달 정도로 학문에 대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대학에서 그는 다양한 학문을 접하게 되었는데, 주로 기하학과 원자론, 화학을 공부하였다. 또한 연금술의 근본 사상이었던 헤르메티시즘을 접하기도 하였는데, 이것이 뉴턴이 평생동안 연금술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가 되었다. 1665년, 영국에서는 흑사병이 대대적으로 유행하게 되어, 이 기간 동안 케임브리지 대학교는 문을 닫게 되었다. 그래서 뉴턴은 2년 동안 고향에 내려가 있었다. 한적한 시골에서 뉴턴은, 과학과 철학에 대한 사색에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었다. 그는 이 기간동안 수학, 광학, 천문학, 물리학에 있어서 중요한 발견들을 해냈다. 20대 중반이었던 이 시기를, 뉴턴 스스로 '발견에 있어서 전성기를 이루었다'고 평가하였다.
뉴턴은 1684년 핼리 혜성으로 유명한 천문학자 에드먼드 핼리(Edmond Halley,1656년-1742년)와 행성운동에 대해서도 토론할 정도로 그는 천문학에도 식견이 있었다. 뉴턴은 관심사가 다양하여 국회의원(1689년), 왕립 조폐국의 이사 근무(1696년)등의 사회활동, 연금술사로서의 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앙숙 관계였던 로버트 후크가 죽자, 왕립 협회 회장을 역임(1703년-1727년)하였다.
독실한 성공회 신자인 뉴턴은 어느 제자가 하느님이 없다고 주장하자, "하느님에 대해서 불경하게 말하지 말게. 나는 하느님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다네"라면서 무신론을 주장하지 못하게 했다는 일화가 있다. 발명품으로는 뉴턴식 망원경이 있다.
[편집] 뉴턴의 물리학
뉴턴이 1687년 7월 5일에 출판한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Philosophiae Naturalis Principia Mathematica)는 유명한 만유인력의 법칙을 설명할 뿐만이 아니라 뉴턴의 운동법칙을 통해 고전 역학을 완성한 근대 과학의 명저로 꼽힌다. 또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와 함께 미적분학의 창설에 큰 영향을 끼쳤다.
[편집] 읽어보기
《다빈치 코드》에 의하면 파리 국립 도서관은 1975년에 기밀문서로 알려진 양피지들을 발견했는데, 거기에는 아이작 뉴턴을 포함한 수많은 시온 수도회의 회원들 이름이 있었다. (1권, 9쪽) 하지만 뉴턴은 성공회 신자이고, 시온 수도원은 가톨릭 수도원이라는 점에서 교파가 다른 뉴턴이 시온수도원의 회원으로 활동했다고 볼 수 있을 근거는 없다.
[편집] 바깥 고리
- 뉴턴 프로젝트 (영국)
- 뉴턴 관계 웹링크 모음
이 문서는 사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이 문서는 물리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