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고슬라비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고슬라비아(Jugoslavija, Југославија)는 20세기 대부분에 걸쳐 유럽의 동남부 발칸 반도에 연이어 존재했던 세 개의 나라를 말한다. 유고슬라비아는 '남 슬라브인들의 땅'을 뜻한다.
- 처음으로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1918년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이란 이름으로 건국되었으며 1929년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개명되었다.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국의 침공으로 멸망하였다.
- 다음으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인 1945년 "유고슬라비아 민주연방"이라는 이름으로 건국되었다. 1946년 "유고슬라비아 연방인민공화국"으로, 다시 1963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92년 여섯개의 구성 공화국 중 넷인 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마케도니아 공화국·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분리 독립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 마지막으로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은 1992년 잔류한 세르비아(코소보와 보이보디나 자치주 포함)와 몬테네그로 영토에 발족했다. 2003년에는 좀 더 느슨한 연방 체제로 바뀌면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개명, 유고슬라비아라는 명칭은 폐지되었다. 2006년 5월 몬테네그로의 국민투표를 통해 분리가 확정 6월 5일 몬테네그로가 독립하면서 세르비아-몬테네그로 연합은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편집] 상속국
유고슬라비아는 오늘날 여섯 나라로 분리되었다.
이 가운데 유럽 연합에 가입한 첫 나라는 1996년 가입을 신청해서 2004년에 회원국이 된 슬로베니아이다. 크로아티아는 2003년에,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2004년에 가입 신청을 한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