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고국천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국천왕(故國川王)(? ~ 197년)(재위 179년 ~ 197년)은 고구려의 제9대 군주이다. 신대왕의 둘째아들로 휘는 남무(南武)이다. 국양왕(國壤王)이라고도 한다.
[편집] 생애
176년에 태자로 책봉되었고, 179년에 제위에 올랐다. 184년에 후한의 요동태수가 쳐들어왔으나 좌원에서 이를 격퇴했다. 190년∼191년에 걸친 좌가려(左可慮)와 어비류(於卑留)의 난을 진압하였고, 191년에 평민인 을파소(乙巴素)를 국상(國相)에 임명하여 귀족세력을 약화시키고 왕권을 강화하려 하였고, 194년에 진대법(賑貸法)을 실시하여 백성들을 규휼하려 하였다. 태조대왕-차대왕-신대왕에 이르는 형제 상속 형태의 왕위 계승 방식에서 아버지인 신대왕에게서 왕위를 물려받은 고국천왕부터 부자 상속 형태가 확립되어 왕권 강화에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편집] 참고
앞선 왕 신대왕 |
제 9 대 179년 - 197년 |
다음 왕 산상왕 |
고구려의 역대 국왕 |
---|
고구려: | 동명성왕 | 유리명왕 | 대무신왕 | 민중왕 | 모본왕 | 태조대왕 | 차대왕 | 신대왕 | 고국천왕 | 산상왕 | 동천왕 | 중천왕 | 서천왕 | 봉상왕 | | 미천왕 | 고국원왕 | 소수림왕 | 고국양왕 | 광개토대왕 | 장수왕 | 문자명왕 | 안장왕 | 안원왕 | 양원왕 | 평원왕 | 영양왕 | 영류왕 | 보장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