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람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람어 ארמית(아라미트), ܕܥܒܪܸܝܛ(아라마야) |
||
---|---|---|
쓰는 나라들 | 그루지아, 러시아, 레바논, 시리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이라크, 이란, 이스라엘, 터키,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 |
언어 인구 | 445,000여명 | |
언어의 계통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서셈어군 중부셈어 북서셈어 아람어 |
|
공용어/표준 | ||
공용어로 쓰는 국가 | 이라크 | |
언어 부호 | ||
ISO 639-1 | (없음.) | |
ISO 639-2: | arc | |
ISO/DIS 639-3: | variously: arc — 성서 아람어 aii — 아시리아 신아람어 aij — 리샤니드 노샨어 amw — 신 서아람어 bhn — 보탄 신아람어 bjf — 바르자니 유대 신아람어 cld — 칼데아 신아람어 hrt — 헤르테빈어 huy — 훌라울라어 kqd — 코이 산자크 수라트어 lhs — 믈라소어 lsd — 리샤나 데니어 mid — 현대 만데아어 myz — 고전 만데아어 sam — 사마리아 아람어 syc — 시리아어 syn — 세나야어 tmr — 유대 아람어 trg — 리샨 디단어 tru — 투로요어 |
아람어(아람어: ארמית / ܕܥܒܪܸܝܛ 아라마야 / 아라미트)는 셈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다. 시리아 문자를 쓴다. 최근에 이라크가 이 언어를 공용어로 지정했다.
목차 |
[편집] 아람어의 역사
[편집] 아람어의 방언
서방파방언에는 구약성서의 아람어나 사마리어, 또 그리스도가 쓰던 크리스트 팔레스티나 아람어 등이 있는데, 시리아의 일부에서는 현재도 쓰이고 있다.
동방파방언에는 바빌로니아 탈무드, 시리아어 ·만데아어 등이 있고, 현재도 아르메니아나 메소포타미아의 일부에서 쓰인다.
[편집] 아람어의 문법
[편집] 바깥고리
http://www.omniglot.com/writing/aramaic.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