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톤 브루크너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톤 요제프 브루크너(Anton Josef Bruckner, 1824년 9월 9일 - 1896년 10월 11일)는 오스트리아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이다. 브루크너는 교사이자 오르가니스트인 아버지 밑에서 태어나 그 밑에서 음악을 배우기 시작했다. 그는 교사 보조로서도 일했고 마을 악단에서 바이올린을 켜기도 했고, 결국 성 플로리안 성당의 오르가니스트가 되었다. 생전에 그는 오르가니스트로서는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특히 즉흥 연주에 능했다고 한다.
그는 나이가 들어서도 계속 여러 스승에게 작곡이나 대위법 등을 배워나갔으며, 빈 음악원과 빈 대학 등에서도 교직을 맡기도 했다. 그러면서 11개의 교향곡과 3개의 모테트, 테 데움 등의 종교 음악을 작곡했다. 그러나 생전의 그의 음악은 제대로 인정을 받지 못하고 많은 비난을 받았다. 이는 그가 바그너추종자였기 때문에 브람스를 신봉하는 많은 비평가의 무조건적인 공격 대상이 되었기 때문이기도 하며, 그의 음악을 있는 그대로 이해해주는 사람이 주변에조차도 드물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의 제자인 페르디난트 뢰베, 프란츠와 요셉 샬크 형제 등은 항상 그의 곡을 청중들이 더 '이해하기 쉽게' 한다는 명분으로 브루크너의 곡을 개작하도록 압박했고, 이런 압박이 브루크너 자신의 유악함 내지 꼼꼼함이 덧붙여져서 지금까지도 문제가 되는 수많은 개정 원고가 존재하게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브루크너는 생애의 거의 마지막에 이르러서야 그의 7번 교향곡, 8번 교향곡, 테 데움의 공연에서 성공을 맛볼 수 있었으나 너무나 늦은 성공이었다고 하겠다. 그는 빈에서 사망했고, 그의 유해는 지금도 성 플로리안 성당의 오르간 밑에 안장되어 있다.
[편집] 작품
그의 가장 주요한 작품은 11개의 교향곡이다. 모든 교향곡은 공통적으로 전형적인 4악장 형태를 갖추었으며, 각 악장 내의 구조에 있어서도 거의 비슷비슷하다. 그의 교향곡의 특징이 금관부에 상당히 강조를 둔다는 점과 음악적인 재료를 하나하나 쌓아서 마지막에 터뜨린다는 점이기 때문에, 그의 교향곡은 편성에 비해 매우 장중하고 진지하다. 이런 음악적인 색채의 특성은 그의 오르가니스트로서의 경험과 그의 독실한 가톨릭 신앙에서 비롯된 것으로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다.
앞에서도 이야기했듯이 그의 교향곡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개정 원고와 판본의 문제다. 브루크너는 생전에 자신의 곡을 지나칠 정도로 자주 개정했고, 개정의 정도에 있어서도 거의 새 곡을 쓰다시피한 정도였으며, 그 모두를 고스란히 오스트리아 국립 도서관 등에 남기고 있다. 이러기에 어느 것의 그의 참 뜻을 반영하고 있느냐에 대해 악보 편집과 인쇄에 있어서 그 주관자의 의견은 분분하다. 따라서 여러 사람에 의해 여러 차례 다른 원고로 이루어진 브루크너 교향곡 악보 전집이 출판되었다. 최초의 악보 편집과 인쇄는 대부분 브루크너의 제자의 입김이 많이 작용했고 브루크너 자신의 의도보다는 그 제자에 의한 임의 편집이 난무했다. 그 바람에 그의 음악은 제대로 이해되기 힘든 지경에 처했다.
이런 경향에 경종을 울린 사건이 1932년에 있었는데, Sigmund von Hausegger라는 지휘자가 브루크너의 마지막 교향곡을 두 가지 판본, 즉 기존에 쓰던 제자 뢰베에 의한 판본과 브루크너 자필 악보에 기반한 새로운 판본에 의해서 연주한 것이다. 그 파장은 엄청났고, 이 때부터 브루크너 원전 찾기 열풍이 시작되었다. Robert Haas가 최초로 원전 전집 악보를 출판했고, 그의 작업을 이어받은 Leopold Nowak은 또 다른 원전 전집 악보를 출판했다. 이 두 사람에 의한 전집 두 가지는 현재까지도 가장 권위있는 브루크너 교향곡의 악보로 인정받고 있다. Haas의 전집 악보는 그가 판단하기에 브루크너 최후의 생각에 가장 가깝다고 보는 원고 하나만을 취해서 첨삭하고 출판한 것인 데에 반해, Nowak은 브루크너가 남긴 각각의 원고에 대해 모두 출판을 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편집] 참고
이 문서는 작곡가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