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글랜드의 찰스 1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찰스 1세 | |
---|---|
칭호 | 잉글랜드의 왕, 스코틀랜드의 왕, 아일랜드의 왕 |
초상화 | ![]() |
통치 기간 | 1625년 3월 27일 ~ 1649년 1월 30일 |
대관식 | 1626년 2월 2일 |
전임자 | 잉글랜드의 제임스 1세 |
계승자 | 잉글랜드의 찰스 2세 (정통 왕) 올리버 크롬웰 (실질적 통치자) |
배우자 | 앙리에타 마리아 (프랑스인) |
별칭 | 폐하 웨일즈의 왕자 요크 공작 올버니의 공작 찰스 왕자 |
왕가 | 스튜어트 왕가 |
아버지 | 잉글랜드의 제임스 1세 |
어머니 | 덴마크의 앤 |
출생 | 1600년 11월 19일, 스코틀랜드 |
세례식 | 1600년 12월 23일, 스코틀랜드 |
사망 | 1649년 1월 30일, 화이트홀 궁전, 잉글랜드 |
매장 | 1649년 2월 7일, 성 조지의 교회당, 잉글랜드 |
찰스 1세(1600년 11월 19일 ~ 1649년 1월 30일)는 1625년 3월 27일부터, 1649년에 사형 당할 때까지 영국을 통치하던 왕이다. 그는 의회와의 권력 다툼으로 유명하다. 그는 왕권신수설을 지지했고, 절대 권력을 얻으려고 했기 때문에, 많은 영국인들은 그를 두려워 했고, 그에 대해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져 갔다. 특히 의회의 동의 없이 세금을 부과하는 것에 대한 반대가 강했다.
찰스 1세의 통치 기간은 종교적 갈등으로 가득했다. 의회와 여론의 반대에도 그는 가톨릭교도인 앙리에타 마리아와 결혼했다. 찰스는 더 나아가 성직자인 리차드 몬타규, 윌리엄 로드와 유대를 강화했다. 찰스는 윌리엄 로드를 캔터베리 대주교에 임명했다. 로드는 영국 국교회의 기도서를 개정하였다. 찰스의 많은 신하들은 그 개정이 영국 국교회를 로마 가톨릭에 너무 비슷하게 바꾸었다고 느꼈다. 찰스는 이후 스코틀랜드에서 종교 개정을 단행했는데, 결국 전쟁으로 이어졌다. 그 전쟁은 영국을 약화시켰고 그의 몰락에 결정타였다.
그의 통치 말년은 영국 내전(English Civil War; 청교도 혁명, Puritan Revolution)으로 얼룩졌다. 그는 의회파(그의 권력에 도전), 청교도(그의 가톨릭교 우대 정책에 반대)와 맞섰다. 제 1차 영국 내전(1642 ~ 1645)은 찰스의 패배로 끝났고 의회파는 그가 입헌군주제를 받아들이길 기대했다. 그러나 그는 제 2차 영국 내전(1648 ~ 1649)을 일으켰다. 결국 재판을 의해, 그는 대역죄(High treason)로 사형을 받았다. 이후 영국은 왕정을 폐지하고, 영국 공화국(Commonwealth of England)으로 불린 공화정을 세웠다. 1660년 영국에서 왕정복고가 일어난 뒤, 찰스 1세의 아들, 찰스 2세가 다음 왕이 되었다.
[편집] 외부 고리
![]() |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