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카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카어 客家话 |
||
---|---|---|
쓰는 나라들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 |
지역 | 광둥 성 동부, 푸젠 성과 장시 성이 맞닿아 있는 지역 | |
언어 인구 | 29,937,959[1] | |
언어의 계통 | 시노티베트어족 중국어 하카어 |
|
공용어/표준 | ||
공용어로 쓰는 국가 | 없음(중화민국 공용어에 포함하자는 법안이 제출된 적이 있다), 타이페이 지하철에서 사용되는 네가지 방송 언어중 하나; 중화민국 정부는 하카어 보존을 위해 하카어 방송을 후원하고 있다. | |
표준 | The Guangdong Provincial Education Department created an official romanisation of Meixian Hakka dialect in 1960, one of four languages receiving this status in Guangdong. It is called Kejiahua Pinyin Fang'an. | |
언어 부호 | ||
ISO 639-1 | zh | |
ISO 639-2: | chi (B) | zho (T) |
ISO/DIS 639-3: | hak |
하카어(객가어. 중국어 간체: 客家话, 정체: 客家語, 병음: Kèjiāhuà, 하카어 발음: Hak-ka-fa/-va)는 중국어 방언의 하나이다.
객가인들은 중국 당,송나라 시대에 남하하였기 때문에 그 당시 중국어의 특징이 아직까지 보전되어 있다. 그 후 대만으로의 이주는 청나라 초기에 시작되었다.
[편집] 특징
어음의 특징은 많은 지역에서 성모 s와 sh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s로 발음한다. 또 옛 입성운미(入聲韻尾) -b[-p], -d[-t], -g[-k]를 보존하고 있으며, 중국어의 성조는 4개인 데 반해 객가어는 6개의 성조를 가지고 있다.
[편집] 각주
[편집] 연결 고리
![]() |
이 문서는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정리가 필요한 문서 | 언어 토막글 | 중국어의 방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