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승목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홍승목(洪承穆, 1847년 ~ 1925년)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친일파 인물이다.
서울 출신으로 1875년 과거에 합격하여 승정원에서 관직을 시작했다.
이후 홍문관과 사헌부 등에서 근무하다가 1879년 형조와 병조의 참의 자리에 올랐으며, 1881년과 1883년에는 각각 사간원의 대사간과 성균관의 대사성에 임명되었다. 1890년 형조참판과 병조참판을 지냈고, 1900년 궁내부 특진관에 올랐다.
홍승목은 1907년 고종이 강제 퇴위된 후부터 친일 단체에 가담하여 활동하기 시작하여, 1910년 한일 합병 조약 체결 직전부터 협조한 관료들에 비해서는 좀더 이른 시기에 적극적으로 친일파로 전향한 편이다.
그는 1907년 12월 이완용, 조중응, 민병석 등 거물급 친일파들이 대동학회(회장 신기선)를 조직했을 때 부회장을 맡았다. 대동학회는 이토 히로부미의 자금 지원을 받아 유림계의 대표 격으로 신기선을 내세워 창설한 친일 유림 단체로, 고종 퇴위 이후 유학자들이 의병을 일으키는 일이 많아지고 명망 있는 유학자 허위가 의병 연합군을 조직해 서울로 진격하는 상황까지 발생하자 이런 움직임에 대항하기 위해 결성된 것이었다.
1908년에는 민원식이 주도한 제국실업회의 회장을 맡았는데, 이 단체 역시 일본인을 고문으로 위촉하고 친일 성향의 보부상 등을 끌어모아 합방을 앞당기기 위한 활동을 벌인 친일 단체였다. 이 무렵 윤덕영, 민영기가 박제순과 함께 조직한 관진방회(觀進坊會, 회장 박제순)에도 가담했다.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된 후에는 일제가 설치한 조선총독부 중추원의 찬의가 되었다.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이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5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파 목록에 모두 선정되었으며, 2006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일제 강점기 초기의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경술국치 때 자결한 홍범식이 홍승목의 아들이며, 홍범식의 아들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부수상을 지낸 소설가 홍명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