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의선(京義線)은, 서울을 출발하여 개성, 평양, 신안주를 거쳐 신의주까지 연결되는 한반도의 종단 철도 노선이다.
1902년 기공하기 시작했으며, 일본이 러일전쟁에 이긴 이후 철도부설권을 얻어 1906년 완공하였다. 그후 1911년 압록강 철교가 완공되어 중국의 만주를 거쳐 유럽까지 이어지는 이어지는 국제 철도 노선의 일부가 되기도 했다.
1945년의 해방과 한국 전쟁을 겪으면서 대한민국측은 서울역에서 도라산역 간을 잇는 55km 구간만을 경의선이란 이름으로 운행하고 있다. 그 중 서울역에서 문산역까지의 구간은 복선 전철화가 진행되고 있다. 2009년 복선 전철화가 완료되면 경의선은 수도권 전철에 속하게 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측은 평양과 개성 사이는 평부선, 평양과 신의주 사이는 평의선으로 이름을 바꿔 운행하고 있다. 2006년 경의선과 동해북부선의 시험 운행이 계획되었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측의 반대로 취소되었다.
목차 |
[편집] 경의선 복원 공사
- 2000년 6월 15일 - 남북공동선언.
- 2002년 9월 18일 - DMZ 구간 공사 착공.
- 2003년 6월 14일 - 경의선/동해선 연결식. (남북이 따로 진행)
- 2003년 12월 31일 - 대한민국측 구간 공사 완료.
[편집] 수도권 전철 공사
[편집] 노선 데이타
- 복선 구간: 서울-행신, 능곡-대곡
- 전화 구간: 서울-행신
[편집] 경의선 역 목록
간선 | 경부선(경부고속선)·경의선·호남선·경원선·경전선·장항선·전라선·경춘선·동해선(동해남부선·동해북부선)·중앙선·영동선·경북선·태백선 |
---|---|
지선 | 대전선·대구선·가야선·서울교외선·강경선·군산선·진해선·광주선·괴동선·망우선·삼척선·묵호항선·함백선·정선선·충북선 |
수도권 전철 | 경인선·안산선·과천선·분당선·일산선·광명 셔틀 |
영업중지 | 수인선·용산선·옥구선 |
화물선 | 남부화물기지선·오송선·양산화물선·대불선·장성화물선·광양제철선·광양항선·북전주선·여천선·우암선·부전선·온산선·장생포선·울산항선·남포선·북평선·문경선 |
폐선 | 수려선·당인리선·주인선·가은선·김포선 |
계획중 | 강원선·중부내륙선·중부선·서해선·완도항선·서해산업선·용문-홍천선 |
![]() |
이 문서는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