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국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차 |
[편집] 작사
애국가의 가사는 1900년대에 쓰여졌으며, 작사자는 공식적으로 미상이다.
작사자에 대한 설은 크게 윤치호라는 설과 안창호라는 설 두 가지가 있다. 작사자 윤치호 설은 윤치호가 애국가의 가사를 1907년에 써서 후에 그 자신의 이름으로 출판했다는 것이다. 한편 안창호가 썼다는 주장은 안창호가 애국가를 보급하는 데에 앞장섰다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1908년에 출판된 가사집 《찬미가》에 수록된 것을 비롯한 많은 일제 시대의 애국가 출판물은 윤치호를 작사자로 돌리고 있는 등 윤치호 설에는 증거가 많은 반면[1] 안창호 설에는 실증적인 자료가 부족하다.
1955년 국사편찬위원회가 윤치호 단독작사설을 심의했을 때 찬성 11표, 반대 2표로 만장일치를 끌어내지 못하여 결정을 유보하였고, 그 이후 애국가에 작사자에 대한 결정은 없었다. 따라서 2007년 현재 애국가의 공식적인 작사자는 미상이다.
[편집] 작곡
처음 애국가는 가사에 스코틀랜드 민요인 〈작별(Auld Lang Syne)〉의 가락을 붙여서 불렀다. 새 곡을 써야 할 필요를 느낀 안익태가 1935년 11월 새 가락을 작곡했다. 새 가락을 붙인 애국가의 악보는 미국에서 출판된 것이 퍼져 1940년경에 상하이에 있던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전해졌지만 한반도에는 일제의 검열로 전해지지 못했다. 1942년 8월 29일에 개국한 미국의 소리 한국어 방송은 애국가 1절 을 매일 방송하였다.
해방 이후 한반도로 새 애국가의 악보가 전해졌다. 애국가의 악보는 교과서 등을 통해서 한반도 전역으로 퍼졌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세워지면서 국가로 쓰게 되었다. 그당시 국민 마음속에 자리잡은 애국가의 위치를 고려하여 성문법으로 따로 규정하고 있지 않고, 이것이 지금까지 내려져오고 있다.
한반도 북쪽에서도 이 애국가를 부르다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세워지면서 같은 제목의 다른 곡을 새로 써서 지금까지 그것을 국가로 쓰고 있다.
[편집] 비판
1964년 제3회 서울 국제음악제에 초대된 지휘자 피터 니콜로프는 기자회견을 열어 자신이 서울에서 받은 대우가 좋지 않다고 불평하고 음악제를 추진한 안익태를 상대로 비난 성명을 발표하면서 애국가의 가락이 도브리치 시의 시가인 〈오 도브루잔스키 크라이(О, Добруджански край ‘오 도브루자 땅이여’)〉와 많이 닮았다고 주장했다.[2] 그는 기자회견 자리에서 그 노래를 부르면서 이렇게 말했다. “만약 불가리아 사람들이 한국에 와서 〈오 도브루잔스키 크라이〉를 부른다면, 한국인들은 일어날 것입니다!(If Bulgarian singers came to Korea and sang O! Dobrujanski Krai, Korean audiences would stand up!)”
두 곡은 첫소절이 서로 비슷하지만 〈오 도브루잔스키 크라이〉가 약박으로 시작하는데 비해 〈애국가〉는 강박으로 시작하며, 전체적으로 가락의 분위기가 다르다. 안익태가 애국가를 작곡한 것은 1935년이고, 그가 처음으로 유럽에 간 것은 이듬해인 1936년이었기 때문에 그가 불가리아 민요를 접했을 가능성은 낮다.
1976년 이유선은 그의 책 《한국양악백년사》에서 위의 표절 문제를 거론하며 “대한민국은 완전한 민주독립국가이니만큼 하루 속히 국가를 [새로] 제정해야 할 것이다”고 썼다. 이에 안익태기념사업회 측은 반론자료와 함께 정부 각 부처에 진정서를 보냈다. 문화공보부와 국회사무처는 애국가가 30년동안 국가 역할을 한 점으로 볼 때 “명확한 근거 없이 표절 여부를 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라고 발표했다.
애국가에 대한 또다른 비판으로는 그 선율 자체가 처음에 못갖춘마디처럼 들린다는 것이 있다. 즉, ‘동해물’이 아니라 ‘동 해물’처럼 들리게 되어 가사와 선율이 서로 어울리지 않는다는 것이다.[출처 필요] 실제로 2006년에 YB가 편곡한 애국가에서는 첫마디만 못갖춘마디로 바뀌어 있다.
1977년 한국음악협회의 회장 조상현은 애국가의 표절 의혹과 함께 가사와 선율의 불일치, 소극적인 내용의 가사 등의 이유를 들어 1월 26일 총회에서 새 국가를 만들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 다음 통과되면 이를 정부에 건의하기로 발표했다. 하지만 총회에서 새 국가에 대한 논의를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 이후에도 정부가 국가를 새로 제정하려고 한다는 의혹이 일기도 했지만 정부는 앞으로 국가를 새로 만들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2000년대 초에는 애국가의 저작권에 대한 논란이 있었는데, 애국가의 저작권이 에스파냐에 있는 안익태의 유족에게 상속되었으며 1992년부터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신탁을 통해 저작권료를 지불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불거진 것이다. 한국음악저작권협회는 상업적인 공연에 쓰인 애국가에 대해서만 저작권료를 받았는데, 이 가운데에는 입장료를 내고 보는 국가대표 축구 경기도 포함되지만 이것이 많은 이들의 상식 선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이다. 어떤 사람은 “학교에서 애국가를 불러도 저작권료를 내야 하는가”라고 비꼬기도 했지만, 그 경우엔 상업적인 공연이 아니므로 저작권료를 내지 않는다. 저작권에 대한 논란은 2005년 3월 16일 유족이 대한민국에 저작권을 무상 양도하면서 풀렸다.[1]
애국가의 작사자로 유력한 윤치호가 말년에 일본 제국의 관료로 일했다는 점도 비판의 대상이 된다. 윤치호는 105인 사건 때 수감을 당한 적이 있는 근대 개화 사상을 전파한 지식인으로서 일제 초기에는 독립 운동가였지만, 105인 사건 후 전향하면서 30여년을 일본의 식민 지배를 위해 앞장섰던 것이다.[3]
[편집] 가사
한글 | 漢字混用 |
---|---|
1
|
1
|
2
|
2
|
3
|
3
|
4
|
4
|
[편집] 주석
[편집] 참고 문헌
- 김연갑. 《애국가 작사자 연구》, 집문당, 1998. ISBN 8930306551
- 전정임. 《안익태》, 한국예술연구소총서, 시공사, 1998.
- Wayde, James. 〈Korean Anthem compared with Bulgarian song by James Wade〉
[편집] 바깥고리
독립 국가 그루지야 | 네팔 | 대한민국 | 동티모르 | 라오스 | 러시아 | 레바논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스리랑카 | 시리아 |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이집트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중화인민공화국 | 중화민국 | 카자흐스탄 | 카타르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키프로스 | 타이 | 타지키스탄 | 터키 | 투르크메니스탄 | 파키스탄 | 필리핀
미승인 국가 또는 기타 지역 나고르노카라바흐 (아제르바이잔령) |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 | 쿠르디스탄 (이라크령) | 팔레스타인 | 투바 공화국 (러시아령) | 현대 아시리아 (이라크, 시리아령) |
분류: 출처 없는 문장이 포함된 문서 | 국가 | 대한민국 | 대한민국의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