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황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명성황후 민씨(明成皇后 閔氏, 1851년 - 1895년)는 고종의 황후이다. 본명은 자영(紫英), 본관은 여흥이다.
목차 |
[편집] 생애
1851년 음력 9월 25일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능현리 250-1[1]에서 민치록(閔致祿)의 무남독녀로 태어났다.
흥선 대원군(헌의 대원왕)의 뜻에 따라 1865년 고종의 아내가 되었다. 당시 서구 열강의 개항 압력이 프랑스(병인양요, 1866년), 미국(신미양요, 1871년) 등과 강화도에서 군사 분쟁으로 나타났으나 흥선 대원군은 단호한 집념으로 이들을 물리치고 국내적으로도 경복궁을 중건하고 서원을 정리하는 등 전제 왕권 강화를 분명히 하고 있었다.
1873년 흥선 대원군의 섭정이 끝나고 고종이 친정을 시작하자 명성황후는 민씨 집안 사람들을 조정의 요직에 앉히고 대외적으로도 쇄국을 버리고 1876년 병자 수호 조약을 체결하는 등 외국에 문호를 개방하였으며 민씨 척신 정권의 후원 하에 김홍집, 어윤중, 김윤식 등 중도 개화파가 형성되었다.
1882년 임오군란으로 한때 충주로 피난했으나 청나라가 군대를 보내 군란을 진압하고 흥선 대원군을 압송해가자 서울로 돌아왔다.
1884년 갑신정변으로 조정의 실력자이기도 한 자신의 친척들 상당 수가 김옥균, 박영효 등 급진 개화파의 생살부에 올라 죽음을 당하고(민영익만은 미국 의사 알렌의 치료로 생명을 건짐) 심지어 자신의 개인 비서인 내관 유재현까지 살해되는 바람에 급진 개화파에 다소 원한을 품게 되었다.
이후 청나라의 횡포에 대응하여 러시아에 접근했으나 이를 우려한 영국 군함이 1885년 거문도를 일방적으로 장악하고(거문도 점령 사건) 청나라도 흥선 대원군을 돌려보내는 등 제어 조치를 취하여 소강 상태로 들어갔다.
1894년 동학 농민 운동를 계기로 청나라와 일본 양국 군대가 조선에 입국하여 청일전쟁이 일어나고 1895년 청나라의 패배가 확실해지자 명성황후는 다시 러시아에 접근하려 했다. 이는 일본을 자극하는 결과를 가져와 '여우사냥'이라는 이름으로 이노우에 고로우가 주동한 시해음모로, 일본의 낭인들에게 시해되었다.(을미사변) 당시 고종은 명성황후를 폐서인했으나 이노우에 가오루 등 일본 측의 작용으로 1897년 대한제국의 수립과 함께 시호를 명성태황후라 하였다.
[편집] 사진 논란
명성황후는 익히 알려진대로 비운의 왕비이다. 1895년,대한제국이 성립되기 2년 전에 일본군에 의해 시해됬기 때문이다(자세한 내용은 위에 명성황후의 생애를 참고하라). 그래서 그의 사진의 진위 여부는 논란거리가 되곤 했다. 2006년에도 궁중여인의 사진을 놓고 명성황후의 사진이라는 주장이 있었으나, 궁녀의 사진으로 판명되었다. 왜냐하면, 서양인들이 프랑스 잡지에 한국의 궁중여인이라고 실은 잡지의 사진이 명성황후라는 사진으로 잘못 알려졌기 때문이다.
[편집] 외국인의 평가
명성황후에 대한 외국인들의 평가는 호의적이다. 이를테면 영국 왕립지리학회 회원이기도 한 지리학자 이사벨라 버드 비숍은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Korea and Her Neighbours)》에서 명성황후를 40대의 중년여성이며, 눈에서 총명함이 느껴지는 지식인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고종을 이방인에게도 친절한 군주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그녀의 글속에는 흥선대원군 이하응을 1866년 병인박해사건 즉, 가톨릭 신자들을 탄압한 사건만으로 비판적으로 취급하는등 편견이 일부 있기 때문에, 명성황후에 대한 평가는 그녀의 일부만 본 평가일 가능성도 있다.
[편집] 같이 보기
[편집] 바깥 고리
- Information about Queen Min
- Queen Min of Korea — The "Last Empress"
- Queen Min of Korea: Coming to Power
- Modern Korean opinion piece on the event
[편집] 각주
- ^ 정교(鄭喬), 《대한계년사》병인년(1866)고종 3년에는 "여주 근동면(近東面) 섬락리(蟾樂里) 사저"로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