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수도 | 서울 | ||
공용어 | 한국어 | ||
면적 | 222,300 km² | ||
인구 | 1700만명(1907년) | ||
정부 형태 | 전제군주제 내각제 | ||
국가원수 | 광무황제 → 융희황제 | ||
행정수반 | 대한제국의 총리 | ||
통화 | 원(圓) | ||
국가 | 애국가 |
대한제국(大韓帝國, Korean Empire/Empire of Korea)은 1897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의 조선의 국호이다.
목차 |
[편집] 역사
[편집] 제국 성립
을미사변과 아관파천 등으로 인해 외세로 인하여 나라의 자주성이 크게 위협받게 되자 자주적 국가 수립을 염원하는 백성들의 목소리가 점차 높아져갔다. 그래서 1897년 고종은 경운궁으로 환궁해, 그 해 8월 17일 광무란 연호를 쓰기 시작하고, 10월 3일 황제 칭호 건의를 수락하였다. 고종은 자주 의지를 대내외적으로 널리 표명하고 땅에 떨어진 나라의 위신을 다시 일으켜 세우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국이 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으며, 10월 12일 환구단에서 나라의 이름을 대한제국이라 하고 스스로 황제로 즉위하였다. 대한제국이 선포되자 각국은 대한제국을 직접적·간접적으로 승인하였다. 그 중 러시아와 프랑스는 황제가 직접 승인 축하하였으며 영국, 미국, 독일 등도 간접적으로 승인 의사를 표시하였다.[1]그러나 당시 대부분의 열강들은 대한제국의 성립을 그다지 반기지 않았다. 즉위 직후인 11월 12일 미루었던 명성황후의 국장을 치렀으며, 11월 20일에 독립문을 완공하였다.
그런데 이 제국을 성립하기까지 서로 연합하였던 독립협회와 수구파는 정부 형태 문제로 대립하여 갈등을 빚었다. 독립협회는 입헌군주제를 주장한 반면 수구파는 전제군주제를 주장하였다. 독립협회는 입헌군주제를 계속 추진하여 1898년 11월 중추원신관제를 공포했다. 그러나 수구파들은 이에 대해 경무청과 친위대를 동원해 독립협회 간부들을 체포하고 조병식을 중심으로 수구파 정부를 수립하였다. 이에 독립협회 세력을 꺾는 것이 자신들에게 유리하다고 판단한 일본이 수구파 정부에 가담, 독립협회의 운동을 탄압하도록 권고하자 고종이 이를 받아들여, 만민공동회를 강제로 해산하여 독립협회는 1898년 12월 해산되었다.
한국의 역사 |
---|
한국의 선사 시대 |
현대사 |
군정기 |
남 · 북 |
이렇게 수립된 수구파 정부는 옛 제도를 근본으로 하고 새로운 제도를 참작한다는 ‘구본신참(舊本新參)’의 시정 방향을 제시하고, 1899년 일종의 헌법인 대한국국제(大韓國國制)를 반포하여 황권의 절대성을 명시하였다. 이어 양전 사업을 실시하고 지계를 발급하여 근대적 토지 소유 제도를 마련하였고, 상공업 진흥책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개혁 정책도 집권층의 보수적 성향과 열강들의 간섭을 받아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편집] 국권 침탈과 주권 수호 운동 전개
일본은 러시아와 대립하면서 한일 의정서를 체결할 것을 강요하고, 나아가 1904년 제1차 한일 협약을 강제로 체결하여 외교, 재정 등 각 분야에 고문을 두고 대한제국의 내정에 간섭하였다. 또 1904년 한반도와 만주를 둘러싸고 러일 전쟁이 일어나, 이듬해 포츠머스 조약의 체결로 이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 1905년 일방적으로 을사 조약의 성립을 발표하여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빼앗고, 서울에 통감부를 설치하였다.
이에 사회의 각계각층에서는 일본의 침략을 규탄하고, 을사 조약의 폐기를 주장하는 운동이 거세게 일어났다. 민영환 등은 자결로써 항거하였으며, 조병세 등은 조약의 폐기를 요구하는 상소 운동을 벌였다. 또 5적 암살단 등이 조직되어 5적들의 저택을 불사르고 일진회 사무실을 습격하였다. 민종식, 최익현, 신돌석 등은 을사 조약의 폐기와 친일 내각의 타도를 내세우고 무장 항전을 벌였다.
또한 독립 협회가 해체된 뒤 개화 자강 계열의 단체들이 설립되어 친일 단체인 일진회에 대항하면서 구국 민족 운동을 전개하였다. 초기에는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좌절시킨 보안회와 입헌 군주제 수립을 목적으로 설립된 헌정연구회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1905년 이후에는 대한 자강회와 대한 협회, 신민회 등이 국권 회복을 위한 애국 계몽 운동을 전개하였다.
[편집] 국권 강탈
1907년 헤이그 밀사 사건으로 8월에 고종이 일본에 의해 강제로 퇴위되고 제국군은 강제로 해산되었다. 고종이 퇴위되자 순종이 즉위하여 연호를 '융희'로 정하였다.(고종 양위 사건 참조) 순종이 즉위한 직후 일본은 한·일 신협약을 강제로 체결하여 대한제국 정부의 각 부처에 일본인 차관을 두어 간섭하였으며, 군대마저 해산하고 실질적으로 한반도를 지배하기 시작하였다. 일본은 전국적인 의병의 저항을 무력으로 진압하고 사법권과 경찰권을 빼앗은 다음 마침내 1910년 8월 29일 한·일 병합 조약이 공포(庚戌國恥), 국권마저 강탈당하여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함으로써 대한제국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편집] 각주
- ↑ 《한국의 황제》, 이민원 엮음, 대원사, 2002년,24쪽
조선 | 한국의 역사 | 일제시대 |
이 문서는 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