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식 영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어식 영어는 한국 안의 영어 어휘 중에서 한국어의 기준을 적용하였거나 영어 문장을 표현할 때 한국어의 문법적인 것들이 사용되어 원어민이 알아들을 수 없는 것을 말한다. 콩글리시(Konglish = Korean + English)로도 부른다.
원래 의미와 다르게 영어 표현을 가져다 쓰거나(예: 자동차 핸들) 함부로 표현 중 일부를 생략하고 일부만 가져다 쓰는 것(예: 스텐, 멘트) 비영어권에서 만들어진 조어(예: 핸드폰)와 같이 원어민이 알아들을 수 없는 영어가 콩글리시이다. 한국어식 영어 표현 중에서, 한국어의 바른 표현인 것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목차 |
[편집] 기원
20세기초에 많은 서양의 용어들이 일본을 통하여 들어왔다. 그 중에 단어의 기원이 영어인 것들이 콩글리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이 시기에 들어온 말들은 일본어식 영어 표현의 발상이나 발음을 가져다 쓴 것이 많다.
이후, 발생한 단어들은 영어 단어들을 한국식 조어법으로 서로 결합하거나, 본래 영어 의미와 다른 의미가 사용되거나, 확장·축소되어 생성된 것들이 많다. 그 외에, 영어 형태소와 한국어 형태소가 합성어를 이루기도 한다. 긴 단어를 한국인이 사용하기 편하게 줄이기도 하는데, 이런 줄임말 중에서 영어권 사람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것들이 한국어식 영어이다.
한편, 무역과 광고의 발달로 인하여, 특정 회사의 상품명이 보통명사가 되는 경우도 흔하다. 이 경우, 상품의 보통 명사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특정한 회사의 상품명이 너무 널리 알려져 그 특정 회사의 상품명이 다른 회사의 상품을 지칭할 때에도 사용된다.
좀 더 확장된 의미로 단어나 짧은 구의 수준에서 벗어나, 한국어의 습관이 영향을 끼쳐서 영어를 한국어 문법식으로 적용하여 구사하는 것을 한국어식 영어라고 하기도 한다.
[편집] 한국어식 영어로 쉽게 착각하는 것들
한국어식 영어(콩글리시)는 한국어와 영어가 서로 혼합된 것인데, 영어 이외의 유럽어와의 혼합이 흔히 한국어식 영어로 착각되기도 한다. 또한,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한국어와 잘 어울리게 변형된 들온말들도 한국식 발음이나 강세를 사용하여 원어민들이 알아들을 수 없는 경우를 콩글리시의 일종이라고 하기도 하지만, 외국어에서 기원한 한국어인 '담배'와 같이 국어의 체계에 동화되어 한국어식 영어라고 부르기엔 무리가 있는 것들도 있다(담배 역시 아메리카 언어에서 기원하여 유럽 고유어가 아니다).
[편집] 한국어식 영어의 종류
[편집] 단어나 짧은 구의 수준
[편집] 비유럽 언어를 거쳐서 온 말
긴 단어를 줄여쓰거나 줄여서 이어 붙이거나 다른 조어 방법을 통하여 만들어진 단어들이다. 주로 일본식 영어에서 온 말이다. 넘어오는 과정에서 원래의 의미와 다른 뜻이 생기거나 되기도 하며, 원래 뜻의 일부가 사용되기도 한다.
- 테레비 - 영어권에서는 television 혹은 TV라고 한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텔레비전'이나 '티브이'가 맞는 표기이다.
- 와이셔츠, Y셔츠, 와이샤쓰, Y샤쓰 - 영어권에서는 그냥 shirts나 dress shirts라고 한다. 일본에서 'white shirts'라는 단어를 만든 뒤 줄여서 ワイシャツ(waishatsu, 와이샤쓰)라고 부른 데에서 유래되었다. 현재 '와이셔츠'는 표준어로 되어 있다. '와이'를 로마자 Y로 쓰는 것은 오해에서 비롯된 잘못된 표기이다. 아마도 그 생김새가 Y자이기 때문에 오해를 부른 것으로 짐작된다[1].
- 아파트 - 'apartment'를 줄인 일본어 アパート(apāto, 아파트)를 그대로 받아 쓰는 말이다. 현재 표준어로 되어 있다. 그런데 미국에서 말하는 'apartment'는 한국에서 사용하는 의미와 달리 개인소유의 집이 아닌, '임대용 공공주택'을 뜻한다. 일본어 'アパート'도 한국어와 의미가 다르다. 일본에서 'アパート'는 서민의 연립주택을 가리키고, 한국식의 아파트는 マンション(manshon, 영어 mansion)이라고 부른다[1].
- 미싱 - 영어권에서는 "sewing machine"이라고 한다. 표준어는 재봉틀이다. 일본에서 sewing machine에서 sewing을 뗀 나머지 부분을 ミシン(mishin, 미신/미싱)이라고 부른 데에서 비롯되었다[1].
- 핫케이크 - 영어권에서는 팬케이크(pan cake)라고 한다. 표준어로는 '핫케이크'와 '팬케이크'가 모두 지정되어 있다. '핫케익', 핫케잌', '팬케익', '팬케잌' 등의 표기는 외래어 표기법에 어긋난다. 한국어 사전에서 핫케이크는 "밀가루에 설탕·달걀·버터 등을 넣어 구운 둥근 과자"이며, 팬케이크는 "밀가루에 우유와 달걀을 넣고 팬에서 구운 말랑한 케이크"라고 되어 있어 비슷하지만 의미상 약간의 차이를 두고 있다[2].
- 핸들 - 사실은 handle이라는 말은 영어에 있긴 하나 자동차의 운전대를 의미할 때에는 "steering wheel" 이라고 한다. 이 역시 일본어식 영어에서 온 말인데, 일본어에서는 ハンドル(handoru, 한도루)라고 한다[1].
- 핸드폰 - 싱가포르(참고: 싱가포르식 영어) 등에서 널리 쓰이는 엉터리 영어 단어이다. 영어권에서는 'cellular phone' 또는 'cell phone'이나 'mobile phone'이라고 한다. 'cell phone'이라는 잘 와닿지 않는 단어보다 'handphone'이 더 와닿는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문법에 크게 신경쓰는 사람들은 '핸드폰'이라는 단어를 쓰려면 차라리 핸디폰(handy phone)이라고 해야 한다고 하지만, 이 역시 영어권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한국어로 순화하여 아예 "손전화"라고 쓰는 사람들도 있다.
- 커닝, 컨닝 - 영어 cunning에서 온 말. 발음이 /ˈkʌnɪŋ/이므로(영어에서는 자음 철자가 2중이어도 2번 발음하지 않음),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으면 '커닝'이 옳다. 그래서 표준어로는 '커닝'이 채택되어 있다. 그런데 원래 영어 cunning은 '교활(한)' 혹은 '정교(한)'이라는 뜻이다. 우리가 말하는 '커닝'에 해당하는 말은 영어권에서는 'cheating'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cheating'은 우리말 '커닝'이외에 더 넓은 뜻을 포함하고 있다.
- 스텐(스댕) - 스테인리스(stainless)를 줄여서 쓴 말로, '스테인리스강(-鋼)' 혹은 '스테인리스 스틸'이 올바른 한국어 표현이다.
[편집] 특정 회사의 상품명이 보통 명사가 된 경우
- 스카치테이프(Scotch Tape) - 접착용 셀로판테이프를 의미하는데 상품명에서 온 말이다.
- 호치키스(Hotchkiss) - 스테이플러를 의미하는데 상표에서 온 말이다.
- 봉고(Bongo) - 이 역시 초창기의 승합차 상표로부터 왔다.[3]
[편집] 한국에서 발생한 단어
- 콩글리시-"콩글리시" 자체도 콩글리시의 일종이며, 많은 영어 사전에 실려 있는 단어가 아니다.
- 오케바리-"오케이(영어: Okay)"와 "오키마리(일본어: おきまり)"가 합쳐졌다는 견해도 있고, "Okay, buddy."가 그 기원이라는 견해도 있다.
[편집] 한국어식의 영어 표현
한국어 문법에 익숙한 한국 사람들이 범하는 영어 문법적인 실수를 한국어식 영어의 범주에 넣기도 한다. 혹은 문화적인 차이로 인하여 이런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것도 한국어식 영어의 범주에 넣을 수 있다.
[편집] 능동태와 수동태의 혼동
영어의 타동사에 대응되는 한국어의 단어가 형용사인 경우 능동태와 수동태를 혼동하여 쓰는 예가 많다.
- "너 심심하니?" - "Are you bored?"라고 써야하지만 "Are you boring?"이라고 잘못 사용하는 등의 예가 흔히 있다. '심심하다'는 형용사이고 'bore'는 타동사이기 때문에 이런 실수를 많이 한다.
[편집] 전치사의 잘못된 사용
영어의 전치사는 한국어의 조사와 1:1 대응 관계를 가지지 않지만, 이런 실수를 하는 경우가 많다. 또, 한국어의 자동사와 영어의 타동사를 대응시켜 이런 실수를 하는 경우도 있다.
- '누구와 결혼하다' - 타동사인 'marry'를 자동사인 '결혼하다'와 같이 생각하여 'marry with' 라고 잘못 사용하기도 한다.
[편집] 문화의 차이
간혹 문화의 차이로 인하여, 혹은 관용어구나 속담 등의 차이로 인하여 다른 의미의 문장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Have you eaten?"을 "밥 먹었니?"와 같은 인사말로 사용한다면 이것은 이런 이유의 한국어식 영어 사용이다.
[편집] 부정 의문문
부정 의문문으로 물었을 때 'Yes'와 'No'를 혼동하여 대답하는 실수를 하기도 한다. 의문문의 형태를 사용하지 않고 평서 부정문의 형태로 물었을 때, 혹은 상대가 다시 확인하며 'No?'라고 물었을 때, 이런 실수가 더 많아지기도 한다.
[편집] 한국어식 영어로 착각하기 쉬운 것들
[편집] 영어 이외의 유럽어에서 온 말
영어 이외의 유럽어에서 온 말들이 한국어식 영어로 잘못 인식되는 경우가 있다.
- 아르바이트-'일'이라는 의미의 독일어 'Arbeit'라는 단어에서 왔는데, 한국에서는 시간제로 일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영어로는 'part-time job'이다.
- 바캉스-'휴가'를 의미하는 프랑스어 'vacance'에서 왔다. 영어로는 'vacation'이다.
[편집] 들온말
이 단어들은 한국어에서 올바른 표현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영어 단어와 거의 같은 뜻으로 쓰이지만 원어민들은 쉽게 이해하기 힘든 단어들이다. 콩글리시라는 것이 주로 잘못된 표현을 일컫는 경우가 많으므로, 한국식 영어 표현이라기 보다는 들온말(외래어)이다. 유럽권에서 기원하지 않은 단어를 콩글리시라고 하거나, 미국식 발음보다는 영국식 발음을 따라간 단어들에 대해서도 미국 중심적 사고를 가진 사람들은 콩글리시라고 하기도 하나 이것은 식견의 부족에서 비롯된 오류이다.
- 텔레비전(티비) - 'Television' 및 그 약어 'TV'에서 온 말로 v발음이 b와 비슷한 발음으로 바뀌고, 강세가 한국식으로 바뀌어서 사용된다(표준어로는 '티비'가 아닌 '티브이'가 옳다).
- 바나나 - 동남아시아나 인도에서 아라비아어를 거쳐 포르투갈어나 스페인어를 통해 영어에서 사용되다가 일본어를 거쳐서 한국어로 들어온 것으로 보이며, 원래 기원이 유럽이었던 것도 아닌 만큼, 한국에서 어떻게 쓰던 영어권 사람들이 상관할 바는 아니지만 주로 미국 중심적 사고 방식을 가진 사람들은 강세나 b의 발음이 p 비슷하게 바뀌는 점 때문에 콩글리시의 일종이라고 잘못 지적한다. "토마토" 같은 단어들도 마찬가지이다.
[편집] 같이 보기
[편집] 다른 언어권의 엉터리 영어
- 에스파냐어식 영어는 스팽글리시(Spanglish)라고도 한다.
- 일본어식 영어는 잉그리시(Engrish), 재플리시(Japlish), 쟁글리시(Janglish)라고도 한다.
[편집] 영어와 다른 언어의 혼성어
[편집] 참고 자료
- ↑ 1.0 1.1 1.2 1.3 장진한(張鎭漢), 《이젠 국어사전을 버려라》, (서울:행담, 2001)
- ↑ 《뉴에이스 국어사전》, 금성출판사
- ↑ 〈새국어소식〉, 2004년 02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