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Yes0song/작업장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저의 작업장입니다. 거의 저의 전용 모래상자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여러분들은 가급적이면 이곳의 글을 편집하지 말아 주시고, 문의 사항이나 지적하실 사항이 있으시다면 사용자토론:Yes0song에 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
[편집] 모래상자
[편집]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세계에 존재하는 문서는 그 언어 및 표기 문자 체계의 조합에 따라 문자를 써나가는 방향〔서자 방향(書字方向)〕이 다르다. 이 방법은 크게 가로쓰기〔횡서(橫書)〕와 세로쓰기〔종서(縱書)〕로 나누어진다. 가로쓰기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좌횡서(左橫書)와 그 반대로 쓰는 우횡서(右橫書)로 나뉘어지고, 세로쓰기에는 행갈이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하는 좌종서(左縱書)와 그 반대로 하는 우종서(右縱書)로 나뉘어진다.
한국어·중국어·일본어·베트남어 등 한자 문화권의 언어들은 전통적으로 우종서를 썼고, 간혹 간판과 같이 가로쓰기를 해야 하는 경우에는 우횡서로 썼다. 근대 이후 서양 문물이 동아시아에 전래된 이후에는 좌횡서도 도입되어 현재까지 병용되고 있다. 가로쓰기와 세로쓰기가 모두 가능한 문자는 현대에는 비교적 드물어, 문자가 정방형(正方形)의 네모칸 안에 쓰여지는 형태는 한자 문화권의 특징으로 자리하고 있다.
서양 언어들이 좌횡서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한편, 아랍어·히브리어 등으로 대표되는 중동권에서는 반대로 우횡서가 쓰인다. 독자적인 문자를 가지는 남아시아·동남아시아에서는 서양처럼 좌횡서가 많다. 몽골 문자로 표기되는 몽골어는 특이하게 좌종서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몽골 문자가 위구르 문자에서 파생한 것에서 유래한다.
고대에는 히에로글리프처럼 서자 방향이 꽤 융통성 있는 문자들의 경우 매 행마다 방향을 반대로 바꾸는 우경법(牛耕法, boustrophedon) 등의 방법도 있었다. 또 아래에서 위로 행을 거듭하는 가로쓰기가 확된 되지 않는 한편, 아래에서 위로 쓰는 세로쓰기는 아일랜드어의 오검 비문의 예, 그리고 돌궐 문자가 드물게 그처럼 쓰여지는 등, 역사적으로도 매우 적게 존재한다.
[편집] 가로쓰기와 세로쓰기의 차이점
초서체의 경우 가로쓰기는 다소 부적합한 면이 있기는 하나, 한글, 한자, 가나는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모두 쓸 수 있다. 실제 표기에서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간의 차이점이 다소 있다. 숫자는 가로쓰기에서는 주로 인도-아라비아 숫자가, 세로쓰기에서는 주로 한자의 숫자가 사용된다. 구두점의 경우, 한국어와 일본어는 가로쓰기와 세로쓰기에 차이가 있다(아래를 보라).
또한 가로쓰기와 세로쓰기에는 구두점과 선, 인용부호의 방향에 차이가 있다. 괄호, 인용 부호, 선, 물결표 등은 가로쓰기와 세로쓰기에서 서로 90도 회전한다.
가로쓰기(좌횡서)로 된 책은 서양 언어와 마찬가지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쪽수가 넘어간다. 세로쓰기(우종서)로 된 책은 그 반대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쪽수고 넘어간다.
일본어의 후리가나나 중국어 번체의 주음 부호와 같은 루비 문자는 본문의 방향을 따른다. 일본어의 경우 다음과 같이 가로쓰기와 세로쓰기에서 루비의 방향이 다르다.
|
또는 |
|
로마자로 된 텍스트가 중간에 삽입된 경우, 가로쓰기 문서에서는 좌횡서를, 세로쓰기 문서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형태로 쓰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편집] 우횡서
동아시아에서 역사적으로 세로쓰기는 표준 체계로 자리하여, 가로쓰기는 오로지 공간이 가로로만 한정된 간판 등에서만 사용되었다. 사실 이 가로쓰기는 각 행이 한 글자만 들어갈 수 있는 특수한 세로쓰기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제2차 세계대전 종료 이전의 일본에서는 이런 사인들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혀졌다.
오늘날 동아시아에서는 서자 방향이 왼쪽에서 오른쪽인 것이 가로쓰기에서 일반적이다. 이것은 영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특히 컴퓨터에서 그런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우횡서는 여전히 쓰이고 있다. 번체가 쓰이는 중국어권 지역이나 일본의 경우, 간판이나 차량의 오른편 등에 우횡서가 사용되고 있다.
[편집] 역사
[편집] 중국어
최초로 가로쓰기로 인쇄된 중국어 텍스트는 1815~1823년 마카오에서 출판된 로버트 모리슨(Robert Morrison)의 《중국어 사전(Dictionary of the Chinese language)》이다.
가로쓰기로 된 중국어 출판물 중 널리 알려진 것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은 잡지 〈과학(科學)〉이다. 1915년 1월에 발행된 이 잡지의 첫 호는 당시에는 생소했던 판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 “本雜誌印法,旁行上左,並用西文句讀點之,以便插寫算術及物理化學諸程式,非故好新奇,讀者諒之。”
- “본 잡지의 인쇄법은 위 왼쪽에서 옆으로 가는 방식에 서양문의 구두점을 병용하였습니다. 이것은 산술·물리·화학의 여러 공식을 삽입하기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며 새로움을 추종하기 위함이 아닙니다. 독자들께서는 이를 양해해 주십시오.”
가로쓰기의 증가와 더불어,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모두 동시에 사용되게 되었다. 가로쓰기 지지자들은 우종서는 글을 쓸 때 때묻히기 쉽다고 주장하였다. 반대로 세로쓰기 주장자들은 가로쓰기는 확립된 전통의 파괴라고 생각하였다.
1949년 공산 혁명의 성공 이후에 중화인민공화국은 간체자를 제정하면서 또한 가로쓰기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중국 대륙의 모든 신문들은 1956년 1월 1일에 세로쓰기를 가로쓰기로 바꾸었다. 이후에 간체자를 도입한 싱가포르에서도 세로쓰기는 희귀해졌다. 타이완, 홍콩, 마카오와 오래된 화교 사회에서는 기존의 방식을 이어오다가 1990년대에 들어와 점진적으로 가로쓰기가 도입되게 되었다. 2000년대 초반까지 이 지역의 신문 대부분은 좌횡서로 대체하거나 좌횡서 제목에 세로쓰기를 결합한 형태로 바꾸었다.
[편집] 일본어
일본어의 가로쓰기는 원래 메이지 시대에 일본인들이 서양어 사전의 인쇄를 시도한 데에서 유래한다. 최초에는 가로쓰기로 된 서양어 텍스트와 세로쓰기로 된 일본어 텍스트를 혼합한 형태로 인쇄되었는데, 이것은 일본어 텍스트를 읽기 위해서는 책을 90도 돌려야 된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것은 다루기 힘들었기 때문에 ‘요코가키(橫書き: 가로쓰기) 사상(思想)’이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일본어에 가로쓰기를 부분적으로 사용한 최초의 출판물 중 하나는 1885년(메이지 18년)에 출판된 《수진삽도독화사서(袖珍揷圖獨和辭書)》이다.
가로쓰기 배열로 이행하던 초기에 잠깐 유행한 ‘미기 요코가키(右橫書き)’가 있었다. 이것은 아랍어와 비슷한 방식이었다. 이 폼은 널리 사용되지 못하여 살아남지 못했다.
[편집] 한국어
한국어도 다른 한자 문화권 언어와 마찬가지로 전통적으로 우종서를 써왔고, 간혹 간판 등에서 우횡서를 썼다.
광복 이후 한국의 근대화가 진행되면서 일본과 마찬가지로 가로쓰기(좌횡서)가 적극 도입되게 되었다. 서적도 점진적으로 세로쓰기에서 가로쓰기로 변모해 갔다. 대한민국의 신문만은 오랫동안 모두가 세로쓰기를 하였는데, 1988년 창간된 〈한겨레신문〉은 파격적으로 가로쓰기를 도입하였다. 1990년대 들어〈중앙일보〉를 필두로 대한민국의 중앙 일간지들이 가로쓰기로 바꾸었다. 현재 대한민국의 중앙 일간지 가운데 세로쓰기를 쓰는 신문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