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히브리어 עברית(IPA: [ɪv'ʁɪt]) |
||
---|---|---|
쓰는 나라들 | 이스라엘 등. | |
언어 인구 | 600만여명 | |
언어의 계통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서셈어군 중부셈어 북서셈어 가나안어 히브리어 |
|
공용어/표준 | ||
공용어로 쓰는 국가 | 이스라엘 | |
표준 | 히브리어 아카데미 | |
언어 부호 | ||
ISO 639-1 | he | |
ISO 639-2: | heb | |
ISO/DIS 639-3: | heb |
히브리어(עברית)는 유대인이 쓰는 언어로서 (때문에 더러는 셈족의 언어라고 불림) 구약성서에 문자로 정착된 이래 시대와 더불어 고대, 중기 그리고 현대 히브리어로 변천되었다. 오늘날의 히브리어(Ivrith)는 이스라엘에서 공용어로 쓰이고 있다.
목차 |
[편집] 히브리어의 뜻과 유래
고대 서양에서 히브리어는 약 3300년 전 유대인, 즉 히브리인이 쓰던 말을 뜻하였다. 유대인의 말은 그들이 믿는 유대교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다시 말해 히브리어는 유대교의 경전 토라에 쓰여진 언어이기 때문이다. 구약성서에서는 유대인이 쓰는 말을 ‘가나안의 말(이사야 19,18)’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더러는 셈족의 말을 민족의 이름을 따서 유대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편집] 히브리어의 변천
[편집] 히브리어의 문법적 특징
[편집] 문자 (자모)
히브리어의 문자는 다음과 같다. 일부 문자는 단어의 끝에서는 다른 모양을 가지며 원래 모양의 밑에 따로 나타냈다.
알렙 Alef | 벳 Bet | 기멜 Gimel | 달렛 Dalet | 헤 He | 바브 Vav | 자인 Zayin | 헷 Het | 텟Tet | 욧Yod | 카프Kaf |
א א | ב ב | ג ג | ד ד | ה ה | ו ו | ז ז | ח ח | ט ט | י י | כ כ |
ך ך | ||||||||||
라메드 Lamed | 멤 Mem | 눈 Nun | 사메흐Samekh | 아인 Ayin | 페 Pe | 체데 Tsadi | 쿼프 Qof | 레쉬 Resh | 쉰 Shin | 타브 Tav |
ל ל | מ מ | נ נ | ס ס | ע ע | פ פ | צ צ | ק ק | ר ר | ש ש | ת ת |
ם ם | ן ן | ף ף | ץ ץ |
[편집] 로마어 표기
[편집] 히브리어의 방언
[편집] 읽어보기
[편집] 바깥 고리
![]() |
이 문서는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