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Yes0song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용자토론:Yes0song |
---|
새 글 쓰기 |
새로 고침 |
<보존문서> /2006년 |
[편집] 사용자:Yes0song/다지모/한자 혼용판 도입
정리부탁합니다. 너무 오래 문서를 작성하다보니, 기력을 소진해 버렸습니다. -_- --마소리스 2007년 1월 4일 (금) 16:21 (KST)
- 늘 열심히 활동하셔서 고맙습니다. 시간 나는대로, 생각나는대로 정리하겠습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1월 4일 (금) 18:56 (KST)
[편집] 언사이클로피디어 새 이름 제안·투표를 받고 있습니다.
현재 아랫방에서 언사이클로피디어의 새 이름 제안·투표를 받고 있으니 꼭 참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에멜무지로 (nfj4alf·'vyvs·kdje·lta;v·kdyvx·icjdw) 2007년 1월 7일 (일) 12:25 (KST)
[편집] 한국어 키릴표기판
제가 나중에 건의할 건데 한국어 키릴표기판을 아십니까? --루스 2007년 1월 20일 (일) 17:59 (KST)
- 로표모에서 제안하려는 것 말인가요? 개인적으로 필요성을 잘 모르겠습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1월 20일 (일) 18:01 (KST)
[편집] 안녕하세요 :)
![]() |
유저박스로 공통의 관심사를 찾아 보세요! | |||||||||||||||||||||||||||||||||||||||||||||||||||
유저박스는 사용자간에 관심 분야와 같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고안된 틀입니다. 다른 위키백과 사용자로 하여금 공통의 관심사 등을 파악하기 쉽게 하여 사용자간의 공동 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목록 중에서 마음에 드는 유저박스를 골라 사용자 페이지에 붙여 보세요!
|
늦었습니다만,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그간 정리해 두지 않고 있던 걸 정리하고 다소 손 보았습니다. 한번 확인해 보세요 :)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1월 21일 (일) 14:06 (KST)
- 답변 늦었습니다. 유저박스들을 좀 제 사용자 페이지에 추가했습니다 :)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1월 23일 (수) 22:45 (KST)
[편집] 그리스 문자 Χ를 로마자 X로 전사하는 경우
토론:그리스 문자 Χ를 로마자 X로 전사하는 경우#합병 제안으로 옮김.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1월 28일 (월) 16:08 (KST)
[편집] 의견 요청
사용자토론:Yes0song/다지모#정규화 알고리즘과 두음법칙과 위키백과:넘겨주기 문서/넘겨주기 수정안에 의견 주셨으면 합니다. --마소리스 2007년 2월 4일 (일) 01:09 (KST)
- 의견 썼습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2월 4일 (일) 09:23 (KST)
[편집] 데이터베이스 완성
한자판 구현을 위한 기본적인 데이터베이스를 완성하였습니다. 제가 작성한 데이터베이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니코드 정규화 알고리즘과 호환되는 형태의 데이터베이스이기 때문에, 두음법칙은 예외 처리 목록을 통해 처리하고 있습니다. 어느정도 성능을 보일지는, 시험용 위키백과를 만들어 적용시켜봐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마소리스 2007년 2월 6일 (화) 03:38 (KST)
- 수고하셨습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2월 6일 (화) 13:04 (KST)
[편집] 나중에 제가 다지모에 키릴판을 건의해도 괜찮겠습니까?
제가 키릴판을 다지모에 나중에 건의할려고 하는데, 괜찮겠습니까? --루스 2007년 2월 6일 (수) 16:44 (KST)
- '건의'야 누구나 무엇이든지 할 수 있지만 솔직히 개인적으로 키릴판 만들자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2월 6일 (수) 17:04 (KST)
- 아, 이유를 모르세요? 그러면 제가 이해되게 설명해 드릴게요. 일단 오늘 토론은 이것으로 마칠게요. 수고하셨습니다. --루스 2007년 2월 6일 (수) 17:05 (KST)
[편집] 정규화 알고리즘 문제
사용자토론:Yes0song/다지모#정규화 알고리즘과 두음법칙에 글 남겼습니다. 제 생각에는 정규화 알고리즘과 호환되는 한자 변환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으니, 굳이 정규화 알고리즘을 해제 하지 않고, 한자판을 구현하는 것은 어떨까 생각합니다. 제 생각에는 정규화 알고리즘을 해제 하는 것이, 호환성 문제로 인해 관리하기가 더욱 어려울 것 같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2월 8일 (목) 02:04 (KST)
- 읽어봤습니다. 더 생각해 봐야겠네요.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2월 8일 (목) 13:53 (KST)
[편집] 제가 나중에 참고해도 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제 작업장에 사용자:Russ/작업장/중국조선말을 만들었는데, 나중에 연변말 페이지를 만들 때 참고했으면 좋겠습니다. --루스 2007년 2월 9일 (토) 22:12 (KST)
- 감사합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2월 9일 (토) 22:54 (KST)
[편집] 시험용 위키백과 만들어 주실 수 있으신가요?
한자판을 도입하던, 뭘 하던 다지모에서 하고자하는 것을 하려면, 시험용 위키백과가 필요합니다. 혹시, Yes0song님께서 미디어위키로 韓思迹을 만드신적이 있으니, 다지모에서 사용할 시험용 위키도 만들어 주실 수 있으신지요? --마소리스 2007년 2월 10일 (토) 00:59 (KST)
- 위키미디어 인큐베이터는 안 이용하시구요? (韓思迹은 아직도 개판인 부분이 많습니다 ㅠㅠ)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2월 10일 (토) 01:03 (KST)
-
- 중국어 위키백과처럼 자동변환을 구현하려면, 별도의 위키백과가 필요하잖아요. 구현 방법은 meta:Automatic conversion between simplified and traditional Chinese#Implementing similar conversion system for other languages에 나와있어요. 한자판을 만들려면 한자>한글 변환용 데이터 베이스를 수집하고 보강해야하는데, 시험용 위키백과를 만들어서 하는것이 최상의 방법인것 같아서요. --마소리스 2007년 2월 10일 (토) 02:03 (KST)
-
-
- 글쎄요 저도 설치해 보고 싶지만 지금 시험삼아 깔아본 한사적 위키도 엉망인 데가 많아서 계속 고치느라 고생하고 있습니다. 다른 곳을 알아보는 게 나을 것 같네요. 죄송합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2월 10일 (일) 17:22 (KST)
-
[편집] 인큐베이터에 있던 한자 혼용 자료를 변환해 보았습니다.
이 정도면 괜찮지 않나요? --마소리스 2007년 2월 14일 (수) 13:11 (KST)
- 괜찮은 것 같네요. :)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2월 14일 (수) 13:45 (KST)
[편집] 한오백년이 재가동에 들어갑니다.
안녕하세요. 한오백년의 관리자 Ellif입니다. 이번에 Yes0song님의 제안으로 한오백년이 재가동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지금까지 한오백년이 어떠한 단체인지에 대한 인식이 없었고, 정체성이 모호하다는 점을 인식하면서, 여러분들과 다시 한 번 한오백년의 정체성과 Manifesto에 대해 정리하는 시간을 마련해 보고자 하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이 글을 보는 회원 여러분들께서는 1) 어디에서 살고 계시는지와 2) 수도권 지역에서 오프를 한다면 참여가 가능하신지, 3) 모임이 가능한 일자 (19일, 26일 주간, 평일에 한함)등을 답신해 주셨으면 합니다. 또한 아직도 KAIS 정책이 인준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투표를 하시지 않으신 여러분들께서는 여기의 투표에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한오백년에게 바라는 점이 있으시다면 한오백년 토론이나 정책을 통해 의견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매일 체크하고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Ellif 2007년 2월 16일 (금) 01:42 (KST)
p.s 다시 한 번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편집] 집 데스크톱 리눅스에 미디어 위키를 설치했는데.
-
- 접속 가능합니다. 폰트 크기 문제는 MediaWiki:Common.css를 위키백과와 똑같이 해서 11pt로 맞췄습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2월 17일 (토) 12:03 (KST)
-
-
- 위키백과 MediaWiki:Common.css를 그대로 복사 붙여 넣기 했는데, 적용이 안되네요. 제 미디어위키에 한자를 한글로 변환하는 것 까지 구현하였는데, 더 수정 해야 할 것이 있을까요? --마소리스 2007년 2월 17일 (토) 12:13 (KST)
-
-
-
-
- 파이어폭스라면 Shift+새로고침을 해야 적용이 될 겁니다. 저도 바로 적용이 안 된 것으로 표시되더군요.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2월 17일 (토) 12:16 (KST)
- 당장 적용이 안 된다면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에 보면 바뀌어 있을 겁니다. 근데 마소리스 님의 위키를 사랑방에 소개해도 될까요?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2월 17일 (토) 12:20 (KST)
- 물론 사랑방에 제 위키를 소개하셔도 무관합니다. 하지만, 데스크톱에 설치한 위키라서, 24시간 켜 두는 것도 아니고 IP까지 유동이라서, 좀 그렇네요. 아무래도 제 위키로 이동하는 링크는 다지모 페이지 내에 놓아두는 것이 더 관리하기 좋을 것 같습니다. IP가 바뀔 때 마다 제가 수정하도록 하죠. --마소리스 2007년 2월 17일 (토) 12:25 (KST)
- 알겠습니다. 그럼 사랑방에는 아직 이야기하지 않겠습니다. 위키 설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2월 17일 (토) 12:30 (KST)
- 물론 사랑방에 제 위키를 소개하셔도 무관합니다. 하지만, 데스크톱에 설치한 위키라서, 24시간 켜 두는 것도 아니고 IP까지 유동이라서, 좀 그렇네요. 아무래도 제 위키로 이동하는 링크는 다지모 페이지 내에 놓아두는 것이 더 관리하기 좋을 것 같습니다. IP가 바뀔 때 마다 제가 수정하도록 하죠. --마소리스 2007년 2월 17일 (토) 12:25 (KST)
-
-
- 유동 IP이긴 하지만, 한 동안은 IP가 바뀔 가능성은 별로 없고, 사랑방에 소개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사랑방에서 어떤 의견이 나올지 궁금하기도 하고요. --마소리스 2007년 2월 17일 (토) 12:55 (KST)
- 사랑방에 글을 올렸습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2월 17일 (토) 13:52 (KST)
[편집] 사용자:IRTC1015/위키프로젝트 철도
현재 준비중입니다. 관심이 있으시다면 준비에 동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IRTC1015(論·與·情) 2007년 2월 20일 (수) 21:49 (KST)
- 알겠습니다. :)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2월 20일 (수) 21:52 (KST)
[편집] 위키백과:번역 요청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의 위키백과:번역 요청 항목은 단순한 번역 의뢰 문서 목록으로 정리가 제대로 정리되어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여기 에서 위키백과:번역 요청과 관련된 토의를 시작합니다. 의견란에 의견 남겨 주세요:) -- 세오테뤼(자·논·여) 2007년 2월 22일 (금) 16:23 (KST)
- 알겠습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2월 22일 (금) 18:32 (KST)
[편집] 나중에 사용자:Russ/작업장/문화어를 만들려고 합니다.
나중에 제가 사용자:Russ/작업장/문화어를 만들어서, 사용자:Russ/작업장/중국조선말과 마찬가지로 수집할려고 합니다. 제가 지금 문화어와 중국조선말을 수집하고 있어요. 다지모를 위해서라면 수집도 마다하지 말아야 해요. 그래서 제가 문화어를 공부하는 동시에 수집을 많이 하고 있어요. 나중에 문화어 페이지를 만들 때, 제 것을 검토했으면 좋겠습니다. --루스 2007년 2월 23일 (금) 12:48 (KST)
- 고맙습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2월 23일 (토) 16:07 (KST)
[편집] 제주어 위키백과에 대해
- 거론된 문서: 사용자:Yes0song/생각#제주어 위키백과?
제주어 위키백과를 만드신다고 했는데, 그런 것보단 제주어판을 만들어서 하는 게 나을 듯 싶습니다. --루스 2007년 2월 26일 (화) 22:33 (KST)
- 한국어판 내부에서 제주방언을 지원하자는 건가요? 솔직히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있을 것 같은데요.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2월 26일 (화) 22:47 (KST)
- 그래도 그것보단 나을 듯 싶습니다. 전 제주방언을 한국어 위키에서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대신에 기술적인 문제가 있는 경우엔 그 문제를 해결하면 됩니다. --루스 2007년 2월 26일 (화) 22:54 (KST)
그렇다면 최종적으로 한국어판 위키백과는
- 표준어(한글)
- 문화어(한글)
- 연변말(한글)
- 고려말(한글)
- 고려말(키릴)
- 제주말(한글, 첫가끝)
- 제주말(한글, 한양PUA)
- 한자 혼용
최대 여덟 모드가 지원될지도 모르겠네요. @_@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2월 26일 (화) 23:25 (KST)
- 음... 듣고보니 여덟 코드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일단 제주말은 좀 더 논의를 시작한 뒤에 결정하는 것이 나을 듯 싶습니다. 아무래도 좀 더 논의를 해야 할 것 같아요. --루스 2007년 2월 26일 (화) 23:28 (KST)
[편집] 미디어위키에서 인터위키 설정?
1월 사랑방 글을 보았습니다. 제가 설명한게 어렵게 되어 있나보네요, 인터위키 설정은 무지 간단합니다. 즉, 위키백과에 쓰이는 인터위키 설정 파일이 미디어위키 설치파일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걸 복사 붙여넣기 해버리면, 바로 설정이 완료된답니다~^^ php마이어드민 그거 편한데, 그거보다 더 편하게 되어 있어요...그냥, 복사, 붙여넣기! 이걸로 끝!! ^^ 혹시 telnet 접속이 안되는 것인가요? 이런...ㅜㅜ 그럼 저도 잘 모르겠군요. -- 멀뚱이 (토론 • 기여 • 카운터 • 로그 • e-Mail) 2007년 2월 28일 (목) 18:31 (KST)
- 예, 텔넷이 안 됩니다.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2월 28일 (목) 18:38 (KST)
http://www.toolblast.com/showthread.php?t=1653
http://www.sir.co.kr/manual/youngcart4/?man=phpmyadmin.htm 여기에 설명이 있군요.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약어입니다. 구조화 질의어(쿼리)를 활용하여 편하게 탐색, 입력, 수정, 삭제등을 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파일을 읽어서 테이블에 데이터 삽입"이란 많은수의 쿼리가 있는 텍스트파일을 사용하여 한꺼번에 쿼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입니다.
이 글이 있는 곳을 찾아서, 그 그림을 보세요. 텍스트 SQL 명령(쿼리) 입력이 된답니다. 아예 파일을 불러오기해서 바로 실행하는 방법도 있군요. ^^ -- 멀뚱이 (토론 • 기여 • 카운터 • 로그 • e-Mail) 2007년 3월 1일 (목) 10:56 (KST)
- 저기 근데... 이미 그 문제는 해결됐어요.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3월 1일 (목) 13:23 (KST)
[편집] Yes0song님이 만든 유저박스에 관한 질문입니다
Yes0song님, 유저박스를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당신이 만든 유저박스에 문제가 있습니다.
아래 유저박스를 좀 보세요.
|
|
|
||||||
|
|
유저박스는 사용자들과 관계있는 내용이 있는 것들을 많은 사용자들의 페이지에 쓰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이 유저박스들을 한번 보십시오.
먼저, 은진송씨 유저박스입니다. 이 유저박스는 많이 쓰려면 생존하는 은진송씨 사람들이 다 위키백과에 가입하여야겠네요. 그건 불가능합니다. 또, 부평사용자 유저박스는 많이 쓰려면 인천시 부평구에 사는 사람들이 다 위키백과에 가입하여야겠네요. 다른 유저박스(안암에서 어슬렁거림 유저박스, 인천사용자 유저박스, 1986년 출생(이 유저박스들은 상당히 많이 쓸 것 같지만, 쓰는 사람들이 5명을 넘지 못할 것 같은데요...), 고려대 유저박스)들도 마찬가지구요.
Yes0song님, 유저박스를 만드시는 건 좋은데, 제발 유저박스를 만드는 자신과만 관계가 있거나, 별로 쓰이지 않을 것 같은 유저박스는 제발 만들지 마세요. 자신과만 관계가 있는 유저박스는 {{Template:Userbox}}를 이용해주세요.
그리고, 다른 유저박스하고 관련된 질문입니다.
아래 유저박스들을 보세요.
|
|
|||||||
|
|
|
||||||
|
이 유저박스들은 관련된 것이 많으므로, 이와 관련된 유저박스들을 더 만드시는 게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영국아일랜드 유저박스는 다른 나라 유저박스도 만드시는게, 그리고, 대한민국 국민 유저박스는 다른 나라 국민 유저박스도, 한민족 유저박스는 다른 민족 유저박스도, 황인족 유저박스는 다른 인종 유저박스도, 남성 유저박스는 여성 유저박스도, 우니시 관심 유저박스는 우니시와 관련된 다른 언어 유저박스도, 우니시부활도 우니시와 관련된 다른 언어 부활 소망 유저박스도, 드보락희망도 쿼티 희망, 2벌식, 3벌식 등 자판 희망 유저박스도, 마지막으로 두세벌 유저박스 모두 익히기 소망 유저박스는 영어 자판 모두 익히기 소망 유저박스도 만드시는게 어떨까요?
이렇게, 유저박스 만들 때에는 신중하게 생각하시고 만드셔야 합니다. 개인적인 것은 틀 유저박스로, 다른 것과 관련된 유저박스(예 : 황인 유저박스)들은 그와 관련된 유저박스를 더 만들어 주세요. -- 이한결 2007년 3월 2일 (금) 18:09 (KST)
- 유저박스 일일이 다 만들 시간 없습니다. 알아서 하세요.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3월 2일 (토) 18:16 (KST)
-
- 유저박스에 대해 관여된 사람 중 한 사람으로서 지나가면서 한 말씀 올리고자 합니다.
- 우선 이한결님께서 말씀하신 내용의 요지는 "지나치게 지엽적인 내용에 해당하는 유저박스는 만들지 않는 것이 좋다"인 것 같습니다만, 이한결님께서 말씀하신 바가 틀린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지나치게 지엽적인 내용에 해당하는 유저박스를 만들지 말라"는 강제사항 인 것은 아닙니다.
- 더군다나 "은진송씨 유저박스 등이 많이 쓰일려면 은진송씨가 다 가입해야 한다"와 같은 주장은 결국 "은진송씨 유저박스를 사용할 사용자가 거의 없으니 만들 필요가 없다"는 가정을 전제하고 있습니다만, 만일 그러한 전제가 유효하다면, 대부분의 바벨 틀은 삭제 처리 대상일 것입니다. (그 중에는 1명도 사용하지 않는 바벨틀이 그렇지 않은 바벨 틀보다 훨씬 많습니다.)
- 유저박스의 제작여부는 "여러 사람이 활용할 수 있는 활동 가능성"에 달린 것이지 실제로 많이 사용하느냐 또는 많이 사용되리라고 예상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기 힘들며 더구나 이에 따라 누구의 유저박스를 만들고 말고를 강제할 사항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더욱이 마지막에 "그러한 유저박스를 만들지 말고 더 많이 쓰는 유저박스를 만들라"는 말을 남기셨습니다만, 유저박스를 만들고 말고는 위키백과의 참여가 각 사용자의 강제 의무사항이 아니듯," 더 많이 쓰는 유저박스를 만드는 것도 사용자의 강제 사항이 아닙니다. 마치 널리 다수가 사용되는 유저박스를 만들어야 하는 것은 미덕이지, 그렇지 않다고 해서 비난 받거나 지시받을만한 사항이 아닙니다. (사용자:Cppig1995님의 유저박스들처럼 말입니다. :)
[편집] 미디어위키에 SVG?
문의하신 거 답이 여기에 있는데, 저도 아직 성공하지 못했답니다. 성공하시면 좀 알려주세요.
사용자:멀뚱이/미디어위키#SVG 파일 업로드 가능하게 하기
-- 멀뚱이 (토론 • 기여 • 카운터 • 로그 • e-Mail) 2007년 3월 4일 (일) 00:08 (KST)
위 링크 가보세요...저, 성공했습니다...ㅎㅎ -- 멀뚱이 (토론 • 기여 • 카운터 • 로그 • e-Mail) 2007년 3월 6일 (화) 10:42 (KST)
[편집] 제가 사용자:Russ/작업장/문화어를 만들었습니다.
제가 대학에 다니는 관계로 주말에만 활동할 예정입니다. 그래서 지금 제가 이걸 만들었습니다. 나중에 검토했으면 좋겠습니다. --211.42.39.211 2007년 3월 10일 (토) 10:01 (KST)
[편집] 우니쉬 자료
안녕하세요. 우연히 페이지를 둘러 보았는데, 비슷한 관심사가 있어서 흥미로웠습니다. 우니쉬에 관해서는 제가 텍스트 문서로 된 간략한 문법사항(우니쉬 항목에 편집중이던 것)과 약 8000 단어정도의 엑셀로 된 우니쉬-한국어 사전을 언젠가 백업해 두었습니다만, 필요하시다면 가져다 쓰시지요. 그리고 유저박스를 보니까 구결-2로 되어 있던데 구결문자는 가타카나나 주음부호같이 잘 정리된 음절표가 없어서 현대문을 표기하는데는 꽤 사용하기 어렵더군요. 자체도 중복자가 많고. 그리고 창작한자도 만드시던데 괜찮으시다면 좀 작품을 보여주시지요. 저도 창작한자를 만듭니다. Noropdoropi 2007년 4월 10일 (수) 23:44 (KST)
- 우니시를 익히고 있다면 모르겠습니다만 그런 건 아니라서 백업해두신 사전이 필요할 것 같진 않습니다 :)
- 한국어에서 한자를 빌려 표음문자로 쓰는 시도는 실패한 것이나 마찬가지여서, 구결을 현대문으로 쓰는 건 불가능한 것 같습니다. 표기 못하는 음절들이 많기 때문이죠. 저는 구결을 한문학자들이 현토(懸吐)할 때 사용하는 정도로만 압니다.
- 창작 한자는 제 위키에서 조금씩 올릴 예정인데 언제 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 한빈/Yes0song (談笑 筆跡 다지모) 2007년 4월 11일 (목) 21:58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