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근본주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독교 |
![]() |
기독교의 역사 |
사도 / 교부 |
기독교 신학 |
삼위일체: 구원 · 은총 |
예배 |
미사 |
성서: |
구약성서 |
기독교의 분파: |
가톨릭 |
기독교 운동: |
에큐메니칼 운동 근본주의/복음주의 |
근본주의(Fundamentalism)은 1850년대 미국 보수 그리스도 교인들에 의해 등장한 보수적인 신학을 말한다.현대신학을 거부하고 성서를 문자적으로 해석할 것을 주장하는 것이 근본주의의 특징이다. 미국 남부의 이른바 성서 지대에서 특히 세력이 강한데, 최근에는 기독교 우파라는 이름으로 정치세력화되고 있다. 이를테면 침례교 목사인 펫 로버트슨은 베네수엘라의 우고 차베스 대통령을 암살하라고 라디오 설교에서 선동하여, 항의를 받기도 했다.
이러한 근본주의는 한국 개신교에도 강한 영향을 주었고, 지금도 마찬가지이다. 실례로 한국 개신교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항일운동, 민주화운동 등의 사회운동에 대해 부정적 내지 비(非)호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또한 진보적인 신학을 자유주의신학이라느니, 신신학이라느니 하면서 탄압하여 장로교의 경우 장공 김재준 목사의 진보신학을 거부, 한국 기독교 장로회와 대한예수교장로회로 분열되기도 했다. 하지만 그리스도의 부활교리 등 그리스도교의 기본교리를 고수한 긍정적인 모습도 있다.
[편집] 근본주의의 주요교리
- 예수의 신성교리
- 예수가 세상의 죄를 대신해서 죽었다는 교리
- 예수가 육체적으로 부활했다는 교리
- 예수의 동정녀 탄생교리
- 성서가 오류가 없다는 교리
- 예수의 재림교리
- 말세심판의 위협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