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천량 해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칠천량 해전(漆川梁海戰) 또는 칠천 해전은 1597년(선조 30년) 음력 7월 15일 칠천에서 벌어진 해전이다.
칠천량 해전으로 조선 수군은 전면적인 패주를 함으로써 붕괴되었다. 이 전투는 임진왜란 중에 벌어진 전투 중에서 가장 중요한 의의를 띠고 있다. 우선 조선수군이 붕괴됨으로써 남해의 재해권이 넘어가 실질적으로 정유재란이 발발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정유년에 재침을 명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령서에는 적국(전라도)을 비롯한 조선의 하삼도를 점령하라고 되어있다. 그러나 하삼도를 점려하려면 보급이 원활해야하는데 조선은 의도적으로 도로를 놓지 않아 수송은 전적으로 강과 바다를 이용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령을 이행하려면 조선수군을 무너뜨려야만 가능했다. 그런데 조선수군이 무너짐으로써 정유재란이 마침내 발발했다고 볼 수 있다.
당시 조선 수군의 지휘관은 원균이었는데, 원균은 통제사에 오르기 전에 부산포를 능히 공격할 수 있다고 주장하여 이순신이 탄핵 될 때 통제사가 될 수 있었다. 그러나 통제사가 된 이후로 단 한 차례 출진도 하지 않았고, 부산 인근의 진과 섬을 육군 30만을 동원해서 점령한 후 출진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불가능한 요구였고 수군의 출진을 기다리다 지친 선조 임금이 마침내 도원수 권율을 재촉하여 원균의 출동을 명령하였다.
출동한 원균은 부산포 인근에서 20여척의 판옥선을 표류하게 해 잃어버리고, 제대로 된 지휘를 하지 않은 채ㅡ기록에 의하면 선상에서 폭음을 하였다고도 한다ㅡ견내량에서 삼도수군을 상륙하게 한 뒤 반격하지도 않은 체 도주했다.
충청수사 최호와 전라우수사 이억기는 상륙하지 않은 채 싸운 후 전사했으며, 경상우수사 배설은 휘하의 판옥선을 이끌고 도주해 한산도를 정리한 후 도주하였다.
목차 |
[편집] 전투 요약
-
- 일시 - 1597년 음력 7월 15일
- 참가 세력
- 결과 : 조선군 패배. 10척만이 살아 경상우수사 배설의 지휘로 탈출. 남해의 제해권이 다시 왜로 넘거가게 됨. 전라우수사 이억기, 충청수사 최호 등 전사.
[편집] 전투 배경
임진왜란 중 왜는 명나라와 화의가 결렬되자 1597년에 조선을 재차 침략하기 시작했다. 이것이 정유재란이다.
이때 삼도수군통제사는 원균이었다. 재침에 앞서 가장 큰 걸림돌인 이순신을 제거하기 위해 왜는 사전에 공작을 펼쳤다. 고니시 유키나가가 첩자인 요시라를 경상우병사 김응서에게 보내어 "1월 21일에 가토가 조선에 도착할 터인즉, 해상에 매복해서 급습하면 생포할 수 있다"는 허위 정보를 제공한 것이다. 조선 조정은 이에 이순신에게 왜적을 기다렸다가 공격하라고 지시하였으나, 적의 계략임을 간파한 이순신은 이를 거부했다. 그러자 조정은 이순신을 파면하고 대신 원균을 삼도수군통제사의 자리에 앉혔다. 이순신이 삼도수군통제사였던 때에 출전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던 원균이지만, 막상 그 자리에 오르고 나자 원균도 상황의 위험함을 깨닫고 출전하려 하지 않았다. 그러다 도원수 권율이 원균에게 태형을 가해서야 원균은 겨우 함대를 억지로 출전시켰다. 그러나, 출전 전부터 분위기가 이렇게 가라앉은 조선 수군이 전처럼 잘 싸워주기를 바라기는 무리였을 것이다.
[편집] 전투 경과
1597년 7월 왜군은 조선 수군에게 패했던 한산도를 다시 공격하기 위하여 먼저 정탐으로 가나메 도키쓰라(要時羅)를 밀파하여 조선군을 유혹하니, 원균은 전 병력을 동원하여 출전하였다. 음력 7월 7일에 다대포(多大浦)에서 왜군의 빈 군함 8척을 불사르는 작은 승리를 거두었지만, 서생포(西生浦)에서 적의 주력함대를 만나 패전하고, 간신히 가덕도(加德島)로 도망쳤다가, 다시 왜군의 복병을 만나 막대한 손해를 입고 거제도 앞 칠천에 정박하고 말았다. 이 전투의 패전으로 사기가 떨어진 원균은 도원수 권율에게 패전의 책임을 추궁당하여 태형(笞刑)까지 받게 되었는데, 이에 원균은 불만과 실의에 빠져 군사를 돌보지 않고 전략상 해전에 불리한 칠천에서 이진(移陣)도 않고 그대로 있다가 다시 왜군의 공격을 받았고, 도망갈 틈도 없이 대부분의 함선과 수많은 수군 장병들을 잃었고, 원균도 전사하였다.
[편집] 결과와 영향
- 이 전투의 결과로, 이순신이 복귀하게 되었다.
- 남해안의 제해권이 왜군쪽으로 넘어가게 되는 바람에 육군의 지원이 원할하게 진행되어 전라도까지 왜군이 침입하였다.
- 이때 뺏긴 남해안의 제해권은 이순신이 명량 해전에서 승리할때까지 왜군에게 있었다.
임진왜란 해전 목록 | |
---|---|
옥포 | 합포 | 적진포 | 사천 | 당포 | 당항포 | 율포 | 한산도 | 안골포 | 장림포 | 화진구미 | 다대포 | 서평포 절영도 | 초량목 | 부산포 | 웅포 | 당항포(2차) | 장문포 | 칠천량 | 어란포 | 벽파진 | 명량 | 절이도 | 장도 | 노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