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노르웨이어 Norsk |
||
---|---|---|
쓰는 나라들 | 노르웨이 | |
언어 인구 | 460만여명 | |
언어의 계통 |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북게르만어군 스칸다나비아어군 노르웨이어 |
|
공용어/표준 | ||
공용어로 쓰는 국가 | 노르웨이 | |
표준 | Norwegian Language Council과 Norwegian Academy | |
언어 부호 | ||
ISO 639-1 | no — 노르웨이어 nb — 보크몰 nn — 뉘노르스크 |
|
ISO 639-2: | nor — Norwegian nob — 보크몰 nno — 뉘노르스크 |
|
ISO/DIS 639-3: | variously: nor — 노르웨이어 nob — 보크몰 nno — 뉘노르스크 |
노르웨이어(Norsk)는 노르웨이에서 사용되는 게르만어파 언어이다. 스웨덴어·덴마크어와 함께 북게르만어군에 속한다.
현재 노르웨이어에는 보크몰(Bokmål)과 뉘노르스크(Nynorsk)라는 두가지 표준 문어가 쓰인다. 보크몰은 덴마크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며 뉘노르스크는 서부 방언들을 토대로 만든 표준이다. 또 보크몰과 뉘노르스크 이외에도 공식 표준어는 아니지만 릭스몰(Riksmål)과 회그노르스크(Høgnorsk)라는 문어도 있는데 각각 보크몰과 뉘노르스크와 가깝지만 릭스몰은 보크몰보다, 회그노르스크는 뉘노르스크보다 보수적인 표준이다.
노르웨이인들의 대다수가 말할 때 쓰는 방언은 보크몰보다 뉘노르스크에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86%-90%가 글을 쓸 때 보크몰 또는 릭스몰 표준을 따르고 나머지는 뉘노르스크 또는 회그노르스크 표준을 따른다. 보크몰이 사용자들이 더 많고 표준어로의 역사도 더 길기 때문에 보통 노르웨이어라 하면 보크몰을 지칭한다.
[편집] 알파벳
노르웨이어에서 쓰이는 알파벳은 29자이며 첫 26자는 영어에서 쓰이는 로마 문자와 같다. 마지막 세 글자는 æ, ø, å이다. 이외에도 á, à, â, é, è, ê, ó, ò, ô와 같이 글자에 발음 구별 부호를 쓰기도 한다.
[편집] 바깥 고리
게르만어파 | ||
---|---|---|
네덜란드어 | 노르웨이어 | 덴마크어 | 독일어 | 스웨덴어 | 스코트어 | 아이슬란드어 | 아프리칸스어 | 영어 | 위미소이어어 | 이디시어 | 페로어 | 프리지아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