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웨이우얼 자치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약자: 疆 | |
![]() |
|
행정 단위 | 자치구 |
청사 소재지 | 우루무치 (乌鲁木齐) |
면적 | 1,660,000 km² (1위) |
인구 (2004년) - 인구밀도 |
19,630,000 (24위) 11.8/km² (29위) |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신강 유오이(위구르) 자치구. 중국어 간체: 新疆维吾尔自治区, 정체: 新疆維吾爾自治區, 병음: Xīnjiāng Wéiwú'ěr Zìzhìqū, 위구르어: شىنجاڭ ئۇيغۇر ئاپتونوم رايونى/Shinjang Uyghur aptonom rayoni/Шинҗаң Уйғур Аптоном Райони 신장 위구르 압토놈 라이오니)는 중화인민공화국 북서단에 위치하는 자치구이다. 중앙아시아 위구르족의 자치구이며, 그 영역은 위구르족에게는 동트르키스탄(شەرقىي تۈركىستان、Sherqiy Türkistan) 지역으로 불리고 있다. 웨이우얼의 뜻은 위구르어로 "단결"과 "연합"을 의미한다.
중국에서는, 시간대가 베이징 시간(北京時間)에 통일되고 있어 공식적인 국내의 시차는 존재하지 않지만, 동트르키스탄에서는 비공식으로 베이징 시간부터 2시간 지연의 신강 시간(新疆時間)이 사용되고 있다.
규모는 작지만 일부에서 분리 독립을 요구하는 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목차 |
[편집] 역사
[편집] 한나라와 흉노의 경쟁
신장(新疆)은 고대 중국인들이 서역이라고 부르던 지역의 일부분으로 비단길이 지역을 지나간다. 역사적으로 오랜 기간 흉노족, 돌궐족, 몽골족 등 유목민족의 지배를 받았지만 한나라나 당나라 때와 같이 중국의 왕조가 강성했던 시기에는 관부를 설치해 직접 지배하기도 했으며 이 지역의 민족들과 나라들을 영향권 아래 두기도 했다.
[편집] 지리
신장은 남쪽은 티베트 자치구, 남동쪽은 칭하이 성과 간쑤 성, 동쪽은 몽골, 북쪽과 서쪽은 러시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인도에 접해 있다. 중앙은 분지와 사막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주위는 산지로 둘러싸여 있다.
[편집] 사람과 언어
지금도 10개가 넘는 소수민족이 살고 있다. 3분의 2는 위구르족이지만, 한족과 카자흐족이 그 다음을 차지하고, 그밖에 후이족 또는 둥간족[回族]·키르기스족·몽골족·타지크족·우즈베크족·타타르족·시버족· 다우르족, 몽골족, 투르크멘족, 만주족등도 있다. 이밖에도 신장에는 18세기에 들어온 러시아인도 살고 있다. 종교는 대다수가 이슬람교를 믿으나 일부는 샤머니즘과 라마교, 러시아인은 정교회를 믿는다. 공용어는 중국어를 쓰지만 각민족은 여러 언어를 쓴다. 위구르족은 자신들이 투르크족의 후예라고 믿고 있다.
2000년의 신장의 민족 그룹 | ||
---|---|---|
민족 | 주민 | %1 |
위구르족 | 8,345,622 | 45.21 |
한족 | 7,489,919 | 40.58 |
카자흐족 | 1,245,023 | 6.74 |
후이족 | 839,837 | 4.55 |
키르기스족 | 158,775 | 0.86 |
몽골족 | 149,857 | 0.81 |
둥샹족 | 55,841 | 0.30 |
타지크족 | 39,493 | 0.21 |
시버족 | 34,566 | 0.19 |
만주족 | 19,493 | 0.11 |
투자족 | 15,787 | 0.086 |
우즈베크족 | 12,096 | 0.066 |
러시아인 | 8935 | 0.048 |
먀오족 | 7006 | 0.038 |
티베트족 | 6153 | 0.033 |
좡족 | 5642 | 0.031 |
다우르족 | 5541 | 0.030 |
타타르족 | 4501 | 0.024 |
살라르족 | 3762 | 0.020 |
2000년 신장의 주요 민족 분포도 | ||||
---|---|---|---|---|
위구르족 | 한족 | 카자흐족 | 기타 | |
신장 | 45.2% | 40.6% | 6.7% | 7.5% |
우루무치 | 12.8% | 75.3% | 2.3% | 9.6% |
커라마이 | 13.8% | 78.1% | 3.7% | 4.5% |
투르판 | 70.0% | 23.3% | <0.1% | 6.6% |
쿠물 | 18.4% | 68.9% | 8.8% | 3.9% |
창지 후이족 자치주 | 3.9% | 75.1% | 8.0% | 13.0% |
보얼타라 몽골 자치주 | 12.5% | 67.2% | 9.1% | 11.1% |
바잉궈렁 몽골 자치주 | 32.7% | 57.5% | <0.1% | 9.7% |
아커쑤 지구 + 아라얼 | 71.9% | 26.6% | <0.1% | 1.4% |
커쯔러쑤 키르기스 자치주 | 64.0% | 6.4% | <0.1% | 29.6% |
카스 + 투무스커 DACLC | 89.3% | 9.2% | <0.1% | 1.5% |
호탄 | 96.4% | 3.3% | <0.1% | 0.2% |
일리 카자크 자치주1 | 16.1% | 44.4% | 25.6% | 13.9% |
- 쿠이툰 | 0.5% | 94.6% | 1.8% | 3.1% |
- 이리 예전 지구 | 27.2% | 32.4% | 22.6% | 17.8% |
- 타청 | 4.1% | 58.6% | 24.2% | 13.1% |
- 아얼타이 | 1.8% | 40.9% | 51.4% | 5.9% |
스허즈 DACLC | 1.2% | 94.5% | 0.6% | 3.7% |
[편집] 산업
[편집] 도시와 자치주
Conventional | 위구르어 (Kona Yeziq) |
위구르어 라틴 표기 (Yengi Yeziq) |
한자 | 병음 | Remarks |
---|---|---|---|---|---|
주요 도시 | |||||
우루무치 | ئۈرۈمچى شەھرى | Ürümchi Shehri | 乌鲁木齐市 | Wūlǔmùqí Shì | |
커라마이 | قاراماي شەھرى | Qaramay Shehri | 克拉玛依市 | Kèlāmǎyī Shì | |
소 도시 | |||||
스허즈 | شىخەنزە شەھرى | Shixenze Shehri | 石河子市 | Shíhézǐ Shì | Administered de facto by the Xinjiang Production and Construction Corps |
투무스커 | تۇمشۇق شەھرى | Tumshuq Shehri | 图木舒克市 | Túmùshūkè Shì | |
아라얼 | ئارال شەھرى | Aral Shehri | 阿拉尔市 | Ālā'ěr Shì | |
우자추 | ئۇجاچۇ شەھرى | Ujachü Shehri | 五家渠市 | Wǔjiāqú Shì | |
지구 | |||||
투루판 지구 | تۇرپان ۋىلايىتى | Turpan Wilayiti | 吐鲁番地区 | Tǔlǔfān Dìqū | |
하미 지구 | قۇمۇل ۋىلايىتى | Qumul Wilayiti | 哈密地区 | Hāmì Dìqū | |
허톈 지구 | خوتەن ۋىلايىتى | Xoten Wilayiti | 和田地区 | Hétián Dìqū | |
아커쑤 지구 | ئاقسۇ ۋىلايىتى | Aqsu Wilayiti | 阿克苏地区 | Ākèsū Dìqū | |
카스 지구 | قەشقەر ۋىلايىتى | Qeshqer Wilayiti | 喀什地区 | Kāshí Dìqū | |
타청 지구 | تارباغاتاي ۋىلايىتى | Tarbaghatay Wilayiti | 塔城地区 | Tǎchéng Dìqū | subordinate to Ili Prefecture |
아러타이 지구 | ئالتاي ۋىلايىتى | Altay Wilayiti | 阿勒泰地区 | Ālètài Dìqū | |
Autonomous prefectures | |||||
커쯔러쑤 키르기스 자치주 | قىزىلسۇ قىرغىز ئاپتونوم ئوبلاستى | Qizilsu Qirghiz Aptonom Oblasti | 克孜勒苏柯尔克孜自治州 | Kèzīlèsū Kē'ěrkèzī Zìzhìzhōu | |
바잉궈렁 몽골 자치주 | بايىنغولىن موڭغۇل ئاپتونوم ئوبلاستى | Bayin'gholin Mongghol Aptonom Oblasti | 巴音郭楞蒙古自治州 | Bāyīnguōlèng Měnggǔ Zìzhìzhōu | |
창지 후이족 자치주 | سانجى خۇيزۇ ئاپتونوم ئوبلاستى | Sanji Xuizu Aptonom Oblasti | 昌吉回族自治州 | Chāngjí Huízú Zìzhìzhōu | |
보얼타라 몽골 자치주 | بۆرتالا موڭغۇل ئاپتونوم ئوبلاستى | Börtala Mongghol Aptonom Oblasti | 博尔塔拉蒙古自治州 | Bó'ěrtǎlā Měnggǔ Zìzhìzhōu | |
일리 카자크 자치주 | ئىلى قازاق ئاپتونوم ئوبلاستى | Ili Qazaq Aptonom Oblasti | 伊犁哈萨克自治州 | Yīlí Hāsàkè Zìzhìzhōu |
[편집] 바깥 고리
- ((중국어)) 공식홈페이지
- ((위구르어)) 위구르족공식사이트
- ((중국어)) 위구르족공식사이트
- ((러시아어)) 위구르족공식사이트
- 신장웨이우얼자치구에 대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
---|---|
성 | 간쑤 성 | 광둥 성 | 구이저우 성 | 랴오닝 성 | 산둥 성 | 산시 성 (산서성) | 산시 성 (섬서성) | 쓰촨 성 | 안후이 성 | 윈난 성 | 장시 성 | 장쑤 성 | 저장 성 | 지린 성 | 칭하이 성 | 푸젠 성 | 하이난 성 | 허난 성 | 허베이 성 | 헤이룽장 성 | 후난 성 | 후베이 성 |
자치구 | 광시 좡족 자치구 | 네이멍구 자치구 | 닝샤 후이족 자치구 | 티베트 자치구 |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 |
직할시 | 베이징 | 상하이 | 충칭 | 톈진 |
특별행정구 | 마카오 | 홍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