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월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학의 수 체계 |
---|
기초 |
복소수의 확장 |
기타 |
i 허수 단위 |
주요 상수 |
π - e - √2 - √3 - γ - |
초월수(超越數)는 어떠한 정수계수의 다항식으로 이루어진 방정식의 해도 될 수 없는 복소수이다. 대수방정식의 해가 될 수 있는 수인 대수적 수와 반대 개념이다.
대수적 수의 집합은 가산집합이고, 이에 비해 복소수의 집합은 비가산집합이고, 따라서 초월수의 집합은 비가산집합이 된다. 이것은 대수적 수의 갯수보다 초월수의 갯수가 많다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잘 알려진 초월수는 많지 않고, 어떤 수가 초월수임을 증명하는 것은 힘든 편이다.
초월수의 존재는 1844년 조제프 리우빌이 처음 발견했다. 그는 실제 초월수의 예를 제시하기 위해 리우빌 상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초월수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수가 아닌 수 중에서 처음으로 초월수임이 증명된 수는 e로, 샤를 에르미트가 1873년에 증명했다. 1882년에는 페르디난트 폰 린데만이 원주율 또한 초월수임을 증명했다. 1874년에는 게오르크 칸토어가 앞에 설명된 논리를 통해 초월수의 집합이 비가산임을 보여주었다.
[편집] 잘 알려진 초월수와 미해결 문제
이 문서는 수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