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루지야의 국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타비수플레바(그루지야어: თავისუფლება)는 그루지야의 국가이다.
"조국의 자유"(짧게는 "자유"를 뜻하기도 함)를 뜻하는 이 노래는 2003년 말에 일어난 시민 혁명으로 인해 2004년에 이르면 국기, 국장이 새로 바뀐 상태에서 함께 채택되었다. 1918년에서 1920년까지, 1991년에서 2003년까지는 디데바 제치트 쿠르테울루스가 국가로 사용되었다.
이 곡의 가사는 자카리아 팔리아슈빌리(1871년 - 1933년)가 작사하였으며 다비트 마그라제가 구성하였다. 그리고 로세프 케차크마제가 새로 국가를 제정하기 위했다는 설도 있다.
목차 |
[편집] 역사
의회로 인해 4월 22일에 소개된 이 새로운 국가는 전 대통령이자 과거 소비에트 연방의 외상 출신인 에두아르드 세바르드나제가 물러나고 새 정부에 의해 2004년 5월 20일에 채택된 것이다. 그루지야 정교회의 성직자인 기오르지 가바슈빌리에 의해 선물하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심지어 이 국가를 제정하기 위해 과거 민주 공화국 시절의 국가인 디데바 제치트 쿠르테울루스(1918년에서 1920년까지, 1991년에서 2003년까지 사용됨)는 과거의 잔재라는 이유로 쓰레기 취급을 받기도 하였다.
이 나라의 국민들은 처음에는 국가를 외우기 위해 조금 고생하였지만 순식간에 이 국가는 인기가 높은 노래가 되었다.
[편집] 가사
그루지야어 가사 | 한국어 음역본 | 한국어 번역본 |
---|---|---|
ჩემი ხატია სამშობლო, |
체미 카티아 삼쇼블로 |
우리의 조국은 작지만, |
[편집] 국가 규칙
그루지야 의회가 지정한 규칙 제3장 4조와 5조로 구성되어 있다. 국가에 중요한 행사가 있을 때는 반드시 암송해야 한다. 제 25장 124.7조에도 규정되고 있으며 그루지야의 대통령 연례(宴禮)식에서도 암송해야 한다.
[편집] 부시의 감탄
2005년 5월 10일, 그루지야를 방문한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이 미하일 사카슈빌리와 함께 있었을 때 이 국가는 부시 대통령을 감탄시키기 충분했다고 한다.
[편집] 바깥 고리
독립 국가 그루지야 |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러시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마케도니아 공화국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바티칸 시국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에스파냐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체코 | 카자흐스탄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터키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미승인 국가 또는 기타 지역 올란드 제도(핀란드) | 바스크 지방(에스파냐) | 브르타뉴(프랑스) | 카탈루냐(에스파냐) | 잉글랜드(영국) | 체첸 공화국(러시아) | 페로 제도(덴마크) | 지브롤터(영국) | 북아일랜드(영국) | 맨 섬(영국) | 건지 섬(영국) | 저지 섬(영국) | 카렐리야 공화국(러시아) | 나고르노카라바흐(아제르바이잔) | 스르프스카 공화국(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스코틀랜드(영국) | 시랜드 섬(영국) | 스발바르 제도(노르웨이) | 타타르 공화국(러시아) | 트란스니스트리아(몰도바) |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키프로스) | 웨일스(영국) | 왈로니(벨기에) |
독립 국가 그루지야 | 네팔 | 대한민국 | 동티모르 | 라오스 | 러시아 | 레바논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스리랑카 | 시리아 |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이집트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중화인민공화국 | 중화민국 | 카자흐스탄 | 카타르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키프로스 | 타이 | 타지키스탄 | 터키 | 투르크메니스탄 | 파키스탄 | 필리핀
미승인 국가 또는 기타 지역 나고르노카라바흐 (아제르바이잔령) |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 | 쿠르디스탄 (이라크령) | 팔레스타인 | 투바 공화국 (러시아령) | 현대 아시리아 (이라크, 시리아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