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경종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려 경종 | |
---|---|
[[그림:{{{그림}}}|200px]] | |
재 위 | |
975년 ~ 981년 | |
왕 비 | {{{왕비}}} |
황 후 | {{{황후}}} |
왕 후 | 헌숙왕후 헌의왕후 헌애왕후 헌정왕후 |
부 군 | {{{부군}}} |
앞선 왕 | 광종 |
앞선 황제 | {{{이전 황제}}} |
다음 왕 | 성종 |
다음 황제 | {{{다음 황제}}} |
고려의 제5대 국왕 |
경종(景宗, 955년 - 981년)은 고려의 제5대 왕(재위: 975년 - 981년)이다. 휘는 주, 자는 장민(長民), 시호는 경종지인성목명혜헌화대왕(景宗至仁成穆明惠獻和大王). 광종과 대목황후(大穆王后) 황보씨(皇甫氏)의 아들이다.
목차 |
[편집] 생애
[편집] 즉위 이전
955년 9월 광종과 대목황후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965년 2월 11살의 나이로 왕태자(王太子), 제군사(諸軍事), 내의령(內議令), 정윤(正尹)에 책봉되었다.
그가 왕태자로 책봉되던 때는 이미 광종의 공포정치에 의해 많은 호족들이 희생된 상태였다. 960년에 평농서사(評農書史) 권신의 참소로 좌승 왕동 등이 내쫓긴 이래 광종의 호족 숙청 작업이 본격화되었고, 965년에는 박수경의 세 아들을 비롯한 대부분의 호족 출신 관료들이 사형을 당하였다. 광종의 공포정치가 졸결될 무렵 살아남은 호족 공신은 겨우 40명이었다. 수백 명에 달하던 호족 관료들은 조정에서 완전히 밀려났으며, 그나마 목숨을 부지하고 있는 것을 다행으로 알아야 했다.
광종의 이 같은 공포정치가 계속되자 호족들 중에는 왕족을 등에 업고 반란을 도모하려는 자들이 생겨났고, 그 때문의 혜종의 아들 흥화군(興化君)과 정종의 아들 경춘원군(慶春院君)이 역모에 휘말려 죽임을 당하였다. 그리고 경종 역시 부황의 의심어린 눈초리로 공포에 떨어야 했다. 아마 호족들이 광종을 제거하고 태자 주(경종)를 왕으로 세우려 한다는 소문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태자 주는 다행히 화를 당하지 않았다. 동생 효화태자가 어린 나이로 죽은 터라 광종에겐 태자 주 이외에 다른 아들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렇듯 공포와 불안 속에서 가까스로 목숨을 부지한 태자 주는 975년 5월 광종이 병으로 승하하자 21살의 나이로 비로소 왕위를 넘겨받는다. 그가 바로 경종이다.
[편집] 재위 기간
경종은 즉위하자 곧 대사면령을 내려 귀양중에 있는 신하들을 돌아오게 하고 죄수들을 풀어주었으며, 관직을 빼앗긴 사람들을 복직시켰다. 또한 광종 때에 설치됐던 임시 감옥을 모두 헐고 신하들을 참소한 글들을 불살랐다. 광종 11년 이후 15년 동안 지속되던 공포정치가 막을 내린 것이다.
공포정치의 종결을 알리는 의미로 경종은 호족 출신 왕선을 재상에 임명하고 광종 시대의 잔재 청산 정책을 실시했다. 왕선이 재상에 임명되자 호족들을 참소한 세력에 대한 대대적인 복수가 시작됐다. 왕선은 경종에게 복수법 마련을 건의했는데, 이는 광종 때에 참소로 인해 피해를 입은 사람들에게 복수할 수 있는 권한을 주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었다. 왕선을 비롯한 호족 세력의 강력한 건의에 따라 경종은 복수법을 허락하였고, 이 때문에 곳곳에서 복수전이 벌어졌다.
경종이 복수법 건의를 받아들인 것은 광종 시대의 공포정치 이후 왕실에 등을 돌린 호족들을 달래고 화합정치를 모색하기 위한 조처였다. 하지만 복수전이 가열되면서 경종의 화합정치에 대한 열망은 퇴색되고 정국은 팽팽한 대결국면으로 치닫는다.
호족들의 복수전은 약 1년간 지속됐는데, 그러던 중에 태조와 천안부원부인 사이에서 태어난 효성태자와 태조의 10번째 아내인 숙목부인의 소생 원녕태자가 살해당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왕선은 복수법을 빌미로 경종에게 보고도 하지 않고 종실의 어른을 살해했던 것이다. 이는 곧 효성태자와 원녕태자가 광종 때에 호족 숙청에 깊숙이 개입했음을 의미한다.
호족들의 복수전으로 인해 종실의 어른이 죽자 경종은 곧 복수법을 금지하고 왕선을 파직시켜 귀양 보냈다. 그리고 순질과 신질을 좌우집정에 임명하고 그들에게 내사령을 겸하게 하였다.
집정제를 좌우집정제로 바꾼 것은 한 사람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처였다. 또한 왕명을 출납하는 내사령을 좌우집정에게 겸임시킨 것은 자신의 의지를 효과적으로 신하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조처였다. 따라서 경종의 좌우집정제 도입은 권력의 집중을 방지하고 동시에 왕명의 권위를 살리는 이중 효과를 노린 것이라 할 수 있다.
좌우집정제를 확립한 경종은 전시과를 마련하여 토지제도의 혁신적인 변환을 꾀한다. 고려 경제의 토대가 농업인 만큼 토지제도의 변환은 쉬운 문제가 아니었다. 토지를 재력의 기반으로 삼고 있던 호족 세력의 반발이 강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고려 초기부터 역분전 제도 등 몇 차례에 걸쳐 토지제도의 정착을 시도했지만 번번이 실패하고 말았는데, 경종이 비로소 전시과(田柴科)를 마련하여 토지제도를 정착시킨 것이다. 관리의 품계와 인품에 따라 토지를 분급하는 제도인 전시과를 마련했다는 것은 당시의 지배 계층 전체를 정부의 토지제도 틀 내에 흡수하려는 획기적인 조처였으며, 결과적으로는 왕권을 강화시켰다.
경종이 이 같은 전시과를 마련할 수 있었던 것은 광종 시대에 호족 공신 세력이 대거 축출되어 상대적으로 왕권이 안정되어 있었던 덕분이다. 하지만 광종의 공포정치가 공신 세력을 불만 세력으로 키워놓았기 때문에 경종은 다소 타협적인 자세를 취해야 했다. 즉, 공신 세력을 끌어안고 동시에 광종 때에 성장한 신진관료들로 하여금 그들을 견제하게 하는 양면책을 구사할 필요가 있었다. 토지 분급의 기준을 품계에 한정시키지 않고 인품을 포함시킨 것도 이런 양면책의 일환이었다. 품계만을 분급 기준으로 삼는다면 대부분의 토지가 높은 직책에 있는 호족들의 독차지가 될 게 뻔했기에 인품을 분급 기준에 둠으로써 낮은 직택에 있으면서도 호족을 견제하며 주요 업무를 수행하던 신진관료들을 배려하고 있었던 것이다.
좌우집정제와 전시과를 마련하며 왕권의 안정을 노린 경종은 한동한 평화기를 지속하며 탁월한 정치력을 발휘했다. 송나라와의 국교를 돈독히 하였으며, 979년에는 발해의 유민들을 받아들였고, 청새진(지금의 희천)에 성을 쌓아 변방의 안정을 모색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평화기는 오래가지 못했다. 유배되어 있던 최지몽이 내의령(內議令)에 임명되면서 고려 조정은 다시 한번 역모 사건에 휘말리게 된다.
혜종 시절에 사천관으로 있던 최지몽은 왕규의 역모 혐의를 고발한 인물로 정종과 광종의 즉위에 기여한 바 있다. 하지만 광종 재위시에 광종을 따라 사찰에 갔다가 술에 만취하여 광종에게 주정을 한 죄로 외직에 나가 있다가 경종 5년인 980년에 다시 등용된 인물이다. 이때 최지몽은 대광(大匡) 겸 내의령 관직과 동래군후(東萊郡侯)의 봉작에 식읍(食邑) 1천 호를 받았다.
대광으로 왕명을 다루는 내의령을 겸직하게 된 최지몽은 조정의 실세로 등장한 후 곧 왕승 등이 반란을 꾀하고 있다고 고발하여 경종으로 하여금 집권 후 처음으로 역모 사건을 경험케 하였다. 이는 경종 집권 후 세력을 정비한 호족들이 다시금 왕권에 도전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즉, 일련의 왕권강화책을 시도하던 경종은 호족 세력의 견제를 받자 쫓겨났던 최지몽을 등용하여 그들을 반역자로 몰아 제거했다. 최지몽은 점성술에 능한 인물인데다가 왕규를 제거할 때 깊숙이 관여한 바 있었기 때문에 경종은 그의 예언 능력을 정적 제거에 이용했던 것이다.
하지만 이 사건 이후 경종은 정사를 게을리 하고 날마다 오락을 일삼으며 바둑으로 시간을 보내는 등 방만한 생활로 일관하였다. 경종이 갑자기 이같이 변한 이유는 분명치 않으나 아마도 정치 자체에 염증을 느낀 듯하다. 왕승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죽고, 호족들의 반발 또한 거세게 일었을 것이다. 광종의 공포정치 과정에서 정권 싸움에 환멸을 느껴 즉위하자마자 화합정치를 표방했던 경종은 또다시 시작된 정권다툼과 살인으로 인해 허망함과 죄책감에 시달렸을 것이다.
경종은 정사를 뒷전으로 한 채 신하들과의 접촉을 피했다. 그는 시종과 광대 이외에 어느 누구도 가까이 하려 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듬해인 981년 6월 병으로 드러누웠다. 병세가 위독해지자 죽음을 예감한 그는 사촌동생인 개령군(開寧君)을 불러서 왕위를 넘기고 승하하였다. 이때 경종의 나이는 불과 27살이었다. 능호는 영릉(榮陵)이다.
[편집] 가족 관계
- 헌숙왕후 김씨(獻肅王后)
- 헌의왕후 유씨(獻懿王后)
- 헌애왕후 황보씨(獻哀王后)
- 헌정왕후 황보씨(獻貞王后)
[편집] 바깥 고리
고려의 역대 국왕 |
---|
고려: 태조 | 혜종 | 정종 | 광종 | 경종 | 성종 | 목종 | 현종 | 덕종 | 정종 | 문종 | 순종 | 선종 | 헌종 | 숙종 | 예종 | 인종 의종 | 명종 | 신종 | 희종 | 강종 | 고종 | 원종 | 충렬왕 | 충선왕 | 충숙왕 | 충혜왕 | 충목왕 | 충정왕 | 공민왕 | 우왕 | 창왕 | 공양왕 |
![]() |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