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정종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 정종 | |
---|---|
[[그림:{{{그림}}}|200px]] | |
재 위 | |
1399년 ~ 1400년 | |
왕 비 | 정안왕후 |
황 후 | {{{황후}}} |
왕 후 | {{{왕후}}} |
부 군 | {{{부군}}} |
앞선 왕 | 태조 |
앞선 황제 | {{{이전 황제}}} |
다음 왕 | 태종 |
다음 황제 | {{{다음 황제}}} |
조선의 제2대 국왕 |
정종(定宗, 1357년 - 1419년, 재위 1399년 - 1400년)은 조선의 제2대 임금이다. 휘는 경(敬), 자는 광원(光遠), 시호는 정종공정의문장무온인순효대왕(定宗恭靖懿文莊武溫仁順孝大王). 태조와 신의왕후의 둘째 아들이다.
[편집] 생애
1357년 7월 1일에 태조와 신의왕후 사이에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성품이 온화하고 용맹하고 지략이 뛰어나 고려 말기에 아버지를 따라 여러 전쟁터에 참여하여 많은 공적을 세웠다. 아버지가 조선을 건국하자 영안대군으로 책봉되었다가 1398년 8월에 동생 정안대군이 제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왕세자로 책봉되었다. 본래 왕위에 뜻이 없었던 영안대군은 왕세자가 되기를 극구 사양하였지만 태조의 맏아들이자 형은 이미 떠나고 없었던 데다가 그 당시 나라의 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동생 정안대군의 강요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왕세자에 올랐다가 1개월 뒤인 1398년 9월에 태조의 양위로 조선의 임금이 되었다. 정종은 2년의 재위기간 동안 동생인 정안대군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다. 정안대군의 뜻에 따라 권력가들이 거느리고 있던 사병들을 해체하고 군사권을 국가의 최고 군사기관인 의홍삼군부(義興三軍府)로 집중시켰다.
정종은 서울의 운기가 나빠 왕자의 난이 일어났다는 이유를 들어 수도를 서울에서 다시 개경으로 옮겼다. 그러나, 다음 해인 1400년 제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정안대군을 왕세제(王世弟)로 책봉하고 9개월 뒤인 11월 13일에 왕세제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으로 물러났다. 정종으로서는 권력의 중심인 왕위에서 물러나는 것만이 목숨을 유지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었기 때문이다. 상왕으로 물러난 정종은 인덕궁에서 격구나 사냥, 온천, 연회 등의 오락으로 유유자적한 생활을 보내다가 세종대왕이 등극한 해인 1419년 9월 26일에 63살의 나이에 승하하였다. 능은 후릉(厚陵)이다.
묘호가 없어 죽은 후 오랫동안 "공정대왕(恭靖大王)"으로 불리다가, 262년이 지난 1681년에 이르러서야 정종이란 묘호를 받게 되었다.
[편집] 가족 관계
- 정안왕후 김씨(定安王后)
- 성빈 지씨
- 덕천군(德泉君)
- 도평군(祧平君)
- 숙의 지씨
- 의평군(義平君)
- 선성군(宣城君)
- 임성군(任城君)
- 함양옹주(咸陽翁主)
- 숙의 기씨
- 순평군(順平君)
- 금평군(錦平君)
- 정석군(貞石君)
- 무림군(茂林君)
- 숙신옹주(淑愼翁主)
- 상원옹주(祥原翁主)
- 숙의 문씨
- 종의군(從義君)
- 숙의 이씨
- 진남군(鎭南君)
- 숙의 윤씨
- 수도군(守道君)
- 임언군(林堰君)
- 석보군(石保君)
- 장천군(長川君)
- 인천옹주(仁川翁主)
- 후궁 무명씨
- 덕천옹주(德川翁主)
- 고성옹주(高城翁主)
- 전산옹주(全山翁主)
- 함안옹주(咸安翁主)
- 가의궁주 윤씨
- 불노
- 시비 기매
- 지운
[편집] 같이 보기
조선과 대한제국의 역대 국왕 |
---|
조선: 태조 | 정종 | 태종 | 세종 | 문종 | 단종 | 세조 | 예종 | 성종 | 연산군 | 중종 | 인종 | 명종 선조 | 광해군 | 인조 | 효종 | 현종 | 숙종 | 경종 | 영조 | 정조 | 순조 | 헌종 | 철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