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코슬로바키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국시: (1918년–1989년) Pravda vítězí
(체코어: 진리는 승리한다) |
||||
![]() |
||||
공용어 |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 |||
수도 | 프라하 | |||
면적 (1991) | 127,900 km² | |||
인구 (1991) | 15,600,000명 체코인 54.1%, 슬로바키아인 31%, 모라비아인 8.7%, 헝가리인 3.8%, 집시 및 기타 0.7% |
|||
통화 | 코루나 (Kčs) = 100 할레르스 | |||
시간대 | UTC+1 | |||
국가 | 데 도모브 뮤이 + 타트라스의 폭풍우 | |||
ISO 3166-1 | CS (쓰이지 않음) | |||
당시 TLD | .cs (쓰이지 않음, .cz와 .sk로 분리됨) |
체코슬로바키아(체코어: Československo 체스코슬로벤스코, 슬로바키아어: Česko-Slovensko 체스코-슬로벤스코, 문화어: 체스꼬슬로벤스꼬)는 1918년부터 1992년까지 (제 2차 세계대전 기간을 제외하고) 중앙유럽에 있었던 옛 공화국이다.
1993년 1월 1일 체코 공화국과 슬로바키아로 평화롭게 나뉘었다.
목차 |
[편집] 역사
원래 이 나라는 오스트리아-헝가리로부터 독립할 때 "보헤미아 왕국"이라는 이름으로 독립할 계획이었으나 제국이 1918년 11월 12일, 군주제를 폐하고 제국 국호도 폐함으로써 공화국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일어나지 몇달 전인 1939년에는 나치 독일에 불법 점령을 당했다. 어떤 사람들은 이 나라를 추축국이라고 보지만 실제로는 1941년 12월에 나치 독일에 선전 포고를 한 바가 있어서 연합국이라 봐야 옳다.
1968년에는 프라하에서 소련군이 시민들의 민주화 운동을 탱크로 강제로 막아버려 전 세계의 비난이 가중되기도 하였다. (이를 프라하의 봄이라 부른다)
당시 두 사람이 소련군에 항거하여 자살까지도 했는데, 지금도 그 두 사람의 시신은 바츨라프 성에 묻혀지고 있고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영적을 기리기도 한다.
1989년 당시 슬로바키아에게 평화로운 완전 자치를 주었고 1993년에 이르면 평화롭게 분리되었다.
[편집] 정치
1939년 나치 독일이 불법 점령하기 이전에는 민주주의가 가장 발전된 나라 중 1순위에 꼽혔다. 1948년 당시 바츨라프 성에서 사회주의 공화국이 선포되었고 1989년에 다시 민주화되었다.
[편집] 주민
체코인과 슬로바키아인이 주로 거주하였고 다른 민족도 거주하였다.
[편집] 종교
대부분이 로마 가톨릭을 믿었다. 하지만 15세기에 얀 후스에 의해 체코 종교개혁이 있었기 때문에, 개신교도 존재한다. 일부는 이슬람교 등의 이교도 존재했다.